주교회의 가정과 생명 위원회 위원장 문창우(비오) 주교가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 등 11인이 공동 발의한 「모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에 관한 주교회의 명의 성명서를 전달하기 위해 국회 보건복지위를 방문했습니다.
문창우 주교는 8월 26일 오전 국회 보건복지위 위원장인 박주민 의원을 만나 성명서를 전달하며 한국교회의 목소리를 전달했습니다.
이번에 입법 예고된 「모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지난 2019년 헌법재판소가 내린 임신 중절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 이후 6년간의 입법 공백을 메꾸기 위해 제안됐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태아가 모체 밖에서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시기에도 낙태할 수 있도록 허용 △약물 낙태 허용 △현행법에서 임산부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있는 경우 등 예외적으로 허용했던 낙태 사유를 모두 삭제함에 따라 △만삭의 태아 낙태, △미성년자 구분 없는 낙태 약물 허용 △예외적 낙태 허용을 무제한 낙태 허용으로 전환해 태아 생명권을 완전히 박탈하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문창우 비오 주교 / 주교회의 가정과 생명 위원회 위원장>
“(박주민 의원에게) 새 정부 안에서 우리가 준비하고 있는 그냥 여성권과 생명권에 대한 어떤 차이에 대한 이야기만이 아니라 ‘국가가 나서서 낙태에 대한 것을 권장하는 이런 분위기는 아니지 않는가’, ‘항의 방문 정도가 아니라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서 함께 풀어가는 그런 노력들이 필요하다’, ‘그래서 너무 속도적인 그런 것들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런 말들을 줄거리 중심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박 의원과의) 29분을 채웠던 것 같아요.”
이날 방문에는 주교회의 생명윤리위원회와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생명대학원 등 여러 단체가 함께 했습니다.
<오석준 레오 신부 /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사무국장>
"헌법 불일치 나기 전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토론회도 많이 했기는 했는데, 저희가 사실 낙태를 (태아가) 몇 주 차 인지 관계 없이 반대하는 입장이어서 그런 부분을 논의할 것은 아니고요. 중요한 것은 신자들이 낙태에 대한 법안이 나온다 하더라도 그 안에서 신자들이 정말로 중요한 가치를 잃지 않도록
교육이나 또 홍보를 많이 할 예정입니다."
주교회의는 이번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방문을 시작으로 주교회의뿐 아니라 전국 교구별로 대대적이고 다각적인 생명 운동을 펼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문창우 비오 주교 / 주교회의 가정과 생명 위원회 위원장>"
“우리가 단지 기도하고 놓여진 상황에 ''어쩔 수 없다''라고 하는 그런 입장이 아니라, 정말 가톨릭의 신앙의 사명감을 소명을 더 일깨울 수 있는 그런 생명운동을 본격적으로 해야 될 시간이 오지 않았는가… 예언적인 외침을 우리가 외쳐야 될 시간이 분명히 왔고 힘을 많이 모아달라고 하는 말씀을 오늘 신자 여러분들에게 기도와 더불어 간곡히 요청드리고 싶습니다.”
홍탁 기자 hongtak@catimes.kr;박효주 기자 phj@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