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위원장 정순택 베드로 대주교)가 30년 역사를 정리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30년사」(이하 「서울 민화위 30년사」를 발간했다.
총 600쪽 분량인 「서울 민화위 30년사」에는 1995년 출범 이후 올해 30주년까지의 역사가 망라돼 있을 뿐만 아니라 출범 이전인 1982년부터 1994년까지의 역사도 제1장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의 태동기: 1982-1994’에 자세히 소개돼 있다.
「서울 민화위 30년사」는 위원회 역사를 연대순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제2장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의 출범과 활발한 대북지원: 1995-2003’, 제3장 ‘민족화해를 위한 인도적 대북지원과 활동: 2004-2013’, 제4장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과 평화나눔 운동으로의 전환: 2014-2025’, 제5장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의 현황과 비전’으로 구성됐다.
또한 위원회 활동 역사를 담은 화보, 연혁과 교육 분야 활동, 사업 통계, 부설기관, 산하기관 등을 소개하는 부록을 실었다. 위원회 역사의 산증인인 전 서울대교구장 염수정(안드레아) 추기경, 전 광주대교구장 최창무(안드레아) 대주교, 전 의정부교구장 이기헌(베드로) 주교, 한국교회사연구소 고문 노길명(요한 세례자) 교수와 조광(이냐시오) 교수 등의 구술 증언도 실었다.
정순택 대주교는 발간사에서 “올해는 위원회가 1995년 3월 1일에 발족 선언을 한 지 꼭 30년이 되는 해”라며 “아직도 증오와 적개심이 남아 있고 사랑과 화해가 민족의 나아갈 길을 비추지 못하는 분단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교회의 역할을 다시금 다짐하고 고민하게 된다”고 말했다.
염 추기경은 축사에서 “위원회는 어느새 이립(而立), 뜻을 세우는 나이를 맞았으니 더욱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해 도약하고, 하느님의 은총 안에서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