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교회사연구소(소장 신정호 모세 신부)는 9월 28일 춘천교구 효자동성당에서 ‘문서를 통해 본 성 골롬반 외방 선교회의 한국 선교’ 주제로 제15회 학술심포지엄을 열었다. 심포지엄에서는 성 골롬반 외방 선교회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전후 시기에 전라남도와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펼쳤던 사목활동을 조망했다.
광주가톨릭대학교 주영일(스테파노) 신부는 제1발표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의 광주·전남 지역에서 활동: 1930-1950년대 골롬반 문서를 중심으로’에서 “1933년 골롬반회 진출 이전까지 광주대교구 관할 지역은 선교의 불모지로 여겨졌다”며 “골롬반회의 진출을 통해 사목적 기반이 마련됐고, 열악한 교통과 생활 여건, 빈약한 초창기 교세에도 불구하고 선교사들을 비롯한 신자 공동체의 헌신은 교구 발전의 토대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1940년대에는 태평양전쟁으로 인한 일제의 통제가 강화되면서 선교사 추방과 감금이라는 시련을 겪은 결과 교세가 크게 위축됐지만 신자 공동체의 헌신과 성직자들의 노력으로 교회의 생명력이 유지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주 신부는 또한 1950년대 골롬반회의 전남 지역 사목 현황과 관련해 “한국전쟁이라는 국가적 비극 속에서 교회가 심대한 피해와 희생을 겪은 시기였지만, 동시에 전후 복구와 사회 재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시기이기도 하다”며 “교회는 전쟁 피해자와 난민들을 돕는 중에 사회적 신뢰를 확보했고, 이러한 신뢰는 교세 급성장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김인선(가타리나·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씨는 제2발표 ‘성 골롬반 외방 선교회의 강원도 진출과 활동-골롬반 문서를 중심으로-’ 발제에서 “한국전쟁 전후 골롬반회 선교사들은 구호물자 배급, 의료시설 운영 등 지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 회복에 직접적으로 기여했다”며 “특히 골롬반회가 구축한 병원과 학교 등의 공공재는 단순한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 신앙, 교육, 의료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모델이 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