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6일
교구/주교회의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밀알 하나] 희년의 사도들, 교정 봉사자와 후원자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형사사법과 교정행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교정사목에 관한 이야기를 어떻게 나누어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희년을 맞이하여 개인적인 사목 경험을 넘어, 교정사목과 교정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영성을 공유하였습니다. 마지막 회는 담장 안팎에서 활동하는 교정 봉사자와 후원자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엄격한 출입 절차와 규정 그리고 낯선 환경이 주는 긴장감 속에서 활동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분들의 활동은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고, 물질적 보상도 따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희는 내가 감옥에 있을 때에 찾아 주었다”(마태 25,36)는 말씀에 따라 활동하는 그들은 ‘희망의 사도들’입니다. 사실 그들의 활동은 연대성에 기반하거나 재사회화를 위한 활동을 넘어서는 ‘주님을 직접 만나 뵙는 신비의 자리’이자, 교회의 본질을 드러내는 복음 선포의 정수입니다.


교정 봉사자들의 활동은 참으로 다양합니다. 미사 전례 준비와 성가 지도, 악기 연주, 특송 등으로 전례를 풍성히 하고, 집단상담 형식을 통해 복음(복음 나누기 7단계)을 전하며, 레지오 모임을 통해 수용자와 신앙 안에서 동행합니다.


또한 예비자 교리, 성경 공부, 장애인 특수 교육, 출소 전 교육, 미술·독서·원예·수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치유와 성장을 돕습니다. 소년원에서는 청년 봉사자들이 활동하며(성경, 미술, 찬양, 공예 등), 인근 본당 봉사자들은 간식을 정성껏 준비합니다.


직접 교정시설에 들어가지는 못하더라도, 도움을 마다하지 않으시는 본당 신부님들과 기도로 함께 해주시는 수녀님들 그리고 묵주 제작, 회지 발송, 특별행사를 지원하는 센터 봉사자들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모든 활동을 이끌어 주시며 어머니의 모습으로 지친 봉사자들을 다독이며, 수용자들에게 따스한 미소로 다가가시는 교정 수녀님이 계십니다. 참 고마운 분들입니다.


다만, 사회의 냉담한 시선과 성과가 쉽게 부각되지 않는 교정사목의 현실은 봉사자들을 지치게 합니다. 희망을 잃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들이 심는 작은 씨앗은 지금 당장 눈에 보이지 않지만 분명 자라나고 있습니다. 그들이 건네는 위로와 인내, 기도와 헌신은 닫힌 마음을 열고, 새로운 시작을 가능케 합니다. “희망은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로마 5,5) 희망을 잃어버린 연쇄된 방관은 한 개인의 불행을 넘어 한 사회를 병들게 합니다.


연재를 마치며, 묵묵히 현장을 지켜주신 전·현직 봉사자, 역대 교정 사목자와 수원 성 빈센트 드 뽈 자비의 수녀회 수녀님들 그리고 후원자분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교정사목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기를 청하며 그동안 연재를 읽어주시고 격려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너희는 내가 감옥에 있을 때에 찾아 주었다.”(마태 25,36)


※문의 031-446-7909 교구 교정사목위원회



글 _ 유정수 루카 신부(수원교구 교정사목위원회 부위원장)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5-10-15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0. 16

티토 2장 2절
나이 많은 남자들은 절제할 줄 알고 기품이 있고 신중하며, 건실한 믿음과 사랑과 인내를 지녀야 합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