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5년 2월 서울 시흥동 산동네에 문을 연 후, 반세기 동안 소외되고 어려운 이들에게 의료·사회복지 활동을 통한 사랑과 돌봄의 손길을 나눠온 전진상의원·복지관(이하 전진상)이 10월 25일 기념식을 열고 50년 동안 이어온 나눔과 봉사의 여정을 돌아봤다.
전진상과 함께한 의료진, 봉사자, 후원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는 서울대교구 이경상(바오로) 주교 주례 기념 미사와 기념식 순으로 진행됐다. 기념식에서는 50년 활동을 담은 영상 시청과 각계 축사가 이어졌다.
이경상 주교는 인사말에서 “전진상은 그동안 그리스도를 위해 움직였고 그리스도가 되어 주셨다”며 “이곳을 통해 치료받으셨던 분도 그리스도였고, 또 도와주신 모든 분도 다 그리스도였기에 이곳은 단순한 사회복지기관이나 진료소가 아니라 그리스도가 현존한 현장이었다”고 격려했다.
배현정(마리헬렌 브라써) 전진상의원 원장은 답사를 통해 “전진상의 길을 열어주신 고(故)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님을 비롯해 전진상 발전에 이바지하신 많은 분을 기억하고 싶다”면서 “앞으로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도 언제나 인간의 존엄과 사랑의 가치를 중심에 두며 가장 작은 이웃과 함께하는 실천적 사랑을 멈추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전진상은 1970년대 산업화의 그늘 속에서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위해 김수환 추기경 요청으로 국제가톨릭형제회(A.F.I, Association Fraternelle Internationale) 회원 3명이 시작했다. 약국과 진료소, 복지관으로 출발한 전진상은 빈민 가정 방문진료, 유치원과 공부방 운영, 재가노인복지, 가정호스피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개원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왔다.
특히 2008년 서울시 최초의 호스피스 전문 완화의료기관 개원은 완치가 어려운 중환자들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지키며 생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돕는 모범 사례로 손꼽힌다. 현재 전진상은 복지관을 비롯한 5개의 기관으로 확대돼 의료, 호스피스, 상담, 사회복지, 아동교육 등의 분야에서 전인적 돌봄을 실천하고 있다.
전진상이라는 이름은 국제가톨릭형제회의 영성에서 나왔다. 전(全)은 온전한 자아 봉헌, 진(眞)은 참다운 사랑, 상(常)은 끊임없는 기쁨의 정신을 뜻한다. 이 세 가지 정신 아래, 전진상은 설립 초기부터 ‘가난하고 병든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의료·사회사업을 행함으로써 영세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역사회 문제를 함께 걱정하고 해결하며 세상에 복음을 증거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다.
한편 전진상의원과 전진상복지관(관장 유송자 아기 예수의 데레사)은 가톨릭대학교가 제정한 ‘제12회 이원길 인본주의상’ 수상 단체로 선정됐다. 시상식은 10월 30일 서울대교구 주교좌명동대성당 프란치스코홀에서 열렸다.
가톨릭대는 “전진상의원·복지관이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위해 ▲무료진료 ▲복지사업 ▲호스피스 완화의료 등 지역사회 속에서 인본주의 실천을 50년간 지속해 온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