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교구가 2026년 1월 정기 사제인사에서 ‘젊은이 사목 담당 교구장 대리’(가칭)를 임명한다.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WYD)를 계기로 청년·청소년 사목에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교구장 조환길(타대오) 대주교의 결단으로 읽힌다.
11월 4일 열린 대구대교구 사제총회에서 조환길 대주교는 “뭔가 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며 젊은이 사목 담당 교구장 대리 임명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교회가 청년 신자 부족 문제로 고민하는 가운데, 대구대교구도 이 같은 현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교구 내 19세부터 39세까지 젊은이 신자 수는 약 12만 명(「대구대교구 2023년 교세통계표」 참조)이지만, 이 가운데 본당 청년회에 등록되어 활동하고 있는 젊은이 수는 1300명가량으로, 1 수준이다.
이런 현실에 따라, 지난 9월 대구대교구 주교평의회에서는 WYD 준비를 기점으로 젊은이 사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마련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10월 각 지역 사제회의에서는 교구 모든 사제단이 이 문제에 대해 머리를 맞대 논의했고, 청소년과 청년을 아우르는 젊은이 사목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 이에 조 대주교는 그 응답으로 사제총회에서 젊은이 사목 담당 교구장 대리 임명 계획을 발표한 것이다.
새로 임명될 젊은이 사목 담당 교구장 대리 신부는 교구의 다섯 개 대리구를 각각 담당하는 기존 교구장 대리 신부와 달리, ‘속인주의(屬人主義)’와 ‘속지주의(屬地主義)’를 조화롭게 결합해 사목 활동을 할 계획이다. 교구 내 모든 청년을 사목 대상으로 하면서도, 그 청년이 속한 본당·대리구와의 연계라는 속지주의적 요소도 함께 반영해, 교구장 대주교의 승인 아래 활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구 청년청소년국장 이지운(시몬) 신부는 프란치스코 교황 권고 「그리스도는 살아 계십니다」 중 “젊은이들은 세상의 미래일 뿐만 아니라 현재”(64항 참조)라는 내용을 언급하며 “WYD 준비가 대회를 잘 치르기 위한 과정을 넘어 교구 젊은이들, 그리고 그들과 동행하는 모든 교구민들의 성장과 변화가 이뤄지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젊은이들이 교회 안에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지점을 발견하고, 그들과 소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작업들이 중요하다”며 “그것을 좀 더 책임지고 강단 있게 밀고 나아갈 어떤 책임자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