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3일
생명/생활/문화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과르디니와 함께 고백록 읽기」…삶이 완전히 변화되는 ‘고백’의 과정 성찰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20세기 가톨릭 신학의 거장 로마노 과르디니 신부가 그리스도교 영성 문학의 고전,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고백록」을 깊이 있게 풀어낸 책이다. ‘아우구스티노의 회심 여정’이라는 부제처럼, 성인이 고백을 통해 삶을 완전히 바꾸어 나가는 과정을 신학적·철학적으로 살펴본다.


많은 사람이 「고백록」을 죄를 고백하고 회개하는 이야기로만 이해하지만, 과르디니 신부는 그보다 훨씬 깊은 의미가 있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고백(Confessio)의 본질은 이렇다. “고백은 피조물인 인간이 창조주 하느님 앞에 자신을 온전히 내어놓는 것이다.”


다시 말해, 아우구스티노가 자신의 욕망과 교만, 방황과 실패를 솔직히 드러낸 이유는 과거를 폭로하려는 게 아니라, 하느님과의 관계 속에서 새 사람으로 거듭나기 위해서였다.


과르디니 신부는 심리 치유와 신앙적 회심을 분명히 구분한다. 심리 치유는 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일이지만, 회심은 나를 하느님께 맡기는 일이라는 것이다. 고백은 숨고 싶고 변명하고 싶은 마음의 벽을 깨고, 하느님 앞에서 내 깊은 내면을 정직하게 마주하는 용기다. 바로 이 과정에서 인간은 진정한 자기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책의 특별한 점은 과르디니 신부가 평생 연구한 ‘마음’과 ‘인격’ 개념이 아우구스티노의 실제 삶 이야기 속에서 생생하게 드러난다는 것이다.


2부로 나뉘는 책은 1부 ‘해석의 토대’에서 ‘고백이란 무엇인지’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2부 ‘여정과 결단’에서는 아우구스티노의 실제 삶에서 회심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따라간다.


아우구스티노의 고백은 내면의 갈등, 자아의 저항, 진리 앞에서 느끼는 부끄러움, 그리고 마침내 찾아온 은총의 순간들이 모두 담긴 생생한 기록이다. 과르디니 신부는 이것이 혼자만의 은밀한 이야기가 아니라, 신앙 공동체 앞에서 하느님을 증언하는 행위라고 설명한다.


또한 아우구스티노의 회심은 머리로만 생각해서 이루어진 게 아니라, 어머니 모니카의 눈물 같은 실제 삶의 관계 속에서 일어났다. 과르디니 신부는 이런 구체적인 삶의 순간들이 하느님의 은총이 사람에게 다가오는 통로였다고 말한다. 회심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번개처럼 내려오는 게 아니라 시간 속에서 천천히 익어가는 결단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가톨릭대 신학대학 교수로 재직하다 2024년 선종한 고(故) 김형수 신부(베드로·부산교구)가 생전 번역한 작품으로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진리를 찾으며 쉬지 않고 회심의 길을 걸었던 김 신부의 삶이, 이 책을 쓴 저자의 의도와 깊이 닿아 있다. 「로마노 과르디니 시리즈」의 첫 권으로 출간된 이유이기도 하다.


이주연 기자 miki@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5-11-12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1. 13

마르 16장 15절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