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8일
교구/주교회의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시노드 이행, 구조 개혁 동반한 영적 쇄신 절실”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한국교회가 시노달리타스의 영적 전환과 구조적 쇄신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재정, 평신도 리더십, 성령 안에서의 경청이라는 삶의 방식이 자리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울러 ‘시노달리타스적 대화’가 청년 문제 해결과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이하 WYD)의 과제를 포괄할 수 있는 사목적 대안으로 제안됐다. 


이 같은 내용은 주교회의 복음선교위원회(위원장 장신호 요한 보스코 주교)가 11월 14일 ‘21세기 한국 가톨릭교회의 복음선교 과제와 전망’을 주제로 서울 중곡동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개최한 세미나에서 나왔다.


‘시노달리타스와 한국교회 성찰’을 주제로 첫 발제를 맡은 우리신학연구소 경동현(안드레아) 연구실장은 시노드 이행 단계 여정에 대한 설명과 함께 「시노드 이행 단계를 위한 길잡이」를 토대로 시노달리타스 영성을 증진하는 다양한 국내외 사례를 소개했다.


경 실장은 한국교회가 시노드 전환을 요청받고 있음에도 실제 이행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라고 진단하면서, “유럽·북미 교회가 성 학대 사태로 인한 신뢰 위기 속에서 시노드 전환을 ‘교회의 생존 조건’으로 받아들인 것과 달리 한국교회에는 여전히 행정적 과업이나 일회성 행사로 인식하는 분위기가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경 실장은 시노드적 삶을 일상화하기 위해 ▲영적 쇄신(경청 문화의 일상화) ▲구조 개혁(공동 책임의 제도화) ▲리더십 전환 등 세 축을 중심으로 실천적 제안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한국교회에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천주교회 200주년 기념 사목회의 의안이나 소공동체 전국 세미나에서 나온 좋은 제안들이 실천되지 못한 뼈아픈 자기반성이 있다”며 “시노달리타스는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교회의 존립 방식 자체이기에 영적 쇄신은 반드시 가시적인 구조 개혁을 동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 이전수(라파엘·2027 WYD 의정부교구대회 조직위원회 전략팀 대표봉사자) 씨는 2024년 통계를 토대로 한국 청년의 신앙 현실을 분석하며, WYD가 가지는 선교적 의미를 역설했다.


‘청년의 사회적 고립’을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이자, 한국교회 공동체의 과제로 명시한 이 씨는 교회의 사목이 ‘가르침’에서 ‘경청’과 ‘동반’으로 전환돼야 함을 강조하며, 이는 단순한 청년 사목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교회의 시노달리타스적 방향성과도 긴밀히 연결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청년들의 현실에 교회가 응답한 구체적 실천 사례로 ‘서울 WYD 준비 과정의 봉사자 양성 과정’에서 적용한 ‘시노달리타스적 대화’ 방식을 명시한 이 씨는 “이는 청년들로 하여금 자신을 ‘수용하고 있다’는 경험을 가능하게 했으며 교회를 ‘비빌 언덕’으로 인식하게 했다”고 전했다. 덧붙여 “이런 방안은 사회적 고립 상태에 놓인 청년 세대의 복귀 혹은 청년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주연 기자 miki@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5-11-17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1. 18

토빗 8장 17절
주님, 저들에게 계속 자비와 구원을 베푸시고 저들이 기쁨과 자비를 누리며 일생을 마치게 해 주소서.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