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0일
기관/단체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주교회의 노동사목위 “AI 시대, 노동시장 변화 맞춰 사목 방향 찾아야”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인공지능(AI) 시대 한국 사회가 겪게 될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응해 교회도 적극적으로 사목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노동사목소위원회(위원장 김선태 요한 사도 주교)는 11월 10일 서울 명동 가톨릭회관에서 ‘새로운 변화, AI와 노동문제’ 토론회를 개최했다.

 

 

정희완 신부(요한·안동교구 가톨릭 문화와 신학 연구소 담당)는 “가톨릭 사회교리는 기술 발전 자체를 부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기술을 창조에 대한 인간의 책임 있는 참여로 이해한다”며 “교회는 모든 기술이 언제나 인간을 위한 것이며, 인간의 존엄성에 종속되어야 한다고 가르친다”고 설명했다. 

 

 

이어 “AI가 주도하는 21세기 노동 시장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디지털 노동 윤리’의 기준점인 교회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며 “신앙 교육과 윤리적 선언에 머물지 않고 노동법과 플랫폼 노동 규제 등의 분야에서 정책을 제안하거나 노동자 권리 옹호, 사회적 연대 등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고, 특히 AI 시대 교회의 노동 사목 방법론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토론회에서는 AI 기술이 국내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도 소개됐다. 한국노동연구원 장지연 선임연구원은 “AI가 단순히 ‘작업 수행 가능성’ 기준으로만 평가되면 전문직과 관리직이 대체될 가능성이 높지만, 직업의 책무와 중요성 등을 반영한 ‘조정된 AI 노출도’를 적용하면 결과가 달라진다”며 “이 지표에 따르면 서비스직, 생산직, 단순직의 대체 가능성이 더 높고, 사무직은 어떤 기준을 적용해도 일관되게 높다”고 말했다.

 

 

장 연구원은 “AI가 기술적으로 수행 가능한 직업과 실제 대체될 직업은 사회·제도적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국내 전체 일자리 중 약 25가 자동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사무직과 판매직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AI로 인해 어떤 일자리가 사라지고 새로 생길지는 연구 방법에 따라 전망이 엇갈린다”고 덧붙였다.

 

 

김선태 주교는 “정부가 최근 ‘AI 3대 강국’을 핵심 국정 과제로 삼고 예산 투자와 세제 지원, 규제 완화를 약속했지만, AI 전망 속에 인간과 노동자에 대한 윤리적 성찰은 매우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프란치스코 교황을 비롯한 교회는 AI가 소수의 이익과 권력만을 강화하는 것은 아닌지 오래전부터 질문해 왔다”며 “AI와 노동의 관계는 결코 단순하지 않지만, 이번 토론이 교회가 시대의 물음에 응답하는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형준 기자 june@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5-11-19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1. 20

시편 127장 2절
일찍 일어남도 늦게 자리에 듦도 고난의 빵을 먹음도 너희에게 헛되리라.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이에게는 잘 때에 그만큼을 주신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