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일
본당/공동체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하느님의 자녀로 거듭난 새터민

서울 반포4동본당, 새터민 60여 명 18일 세례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서울 반포4동본당, 새터민 60여 명 18일 세례

▲ 이종남 신부가 새터민에게 예비신자 교리를 가르치고 있다. 남정률 기자



12일 오전 서울 반포4동성당(주임 이종남 신부). 10시가 가까워지자 지하 교리실은 수도권 각지에서 모여든 60여 명의 새터민으로 가득 찼다.

이종남 신부는 마지막 예비신자 교리교육을 통해 새터민들의 대부 대모가 될 신자들을 소개하고,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일깨웠다. 이 신부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새터민들의 얼굴에는 뿌듯함과 설렘이 가득했다.

이들은 18일 성당에서 열리는 세례식에서 하느님의 자녀로 거듭날 예정이다. 목숨을 건 탈북으로 한국에서 다시 태어난 새터민들이 세례로써 하느님 자녀로 또 한 번 태어나는 것이다.

본당에서 한꺼번에 60여 명이나 되는 새터민을 따로 교육하고 세례를 주는 것은 드문 일. 새터민 교리는 평소 북한 선교와 새터민 사목에 관심이 많은 이 신부가 새터민 관련 기관 지인의 요청을 받고 흔쾌히 응낙함에 따라 지난해 10월 시작됐다.

본당은 모든 것이 낯설고 두렵기만 한 새터민들이 한국에 뿌리를 내리고 신앙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 신부가 직접 교리를 맡은 것은 물론 집에는 아침 일찍 출발해야 하는 새터민들을 위해 간식을 제공하고 교리와 미사가 끝난 후에는 점심을 같이하도록 했다.

또 새터민을 유형별로 묶어 새터민 5명당 1명씩 본당에서 엄선한 대부 대모를 지정하고 자체 모임을 갖도록 하는 등 새터민들이 세례 후에도 신앙생활을 잘 이어갈 수 있도록 배려했다. 덕분에 교리 초기에는 잔뜩 긴장하고 움츠렸던 새터민들이 지금은 자연스럽게 웃음꽃을 피울 만큼 활기차고 밝아졌다는 교리 봉사자의 귀띔이다.

세례명을 요셉으로 정한 양 모(2014년 탈북)씨는 “새터민들이 가장 굶주린 것이 사랑인데, 신부님은 그야말로 아버지 같은 마음으로 저희를 돌봐주셨다”면서 이 신부에게 감사를 전하고, 가톨릭을 새 ‘터’ 삼아 충실한 신앙인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통일이 되면 당장 북으로 달려가 북한 복음화에 일익을 담당하고 싶다는 이 신부는 “북한을 복음화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그리스도의 사도가 바로 새터민”이라며 우리 사회 소외된 이웃인 동시에 북한 복음화의 주역이 될 새터민들에게 많은 관심과 성원을 요청했다.

남정률 기자 njyul@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6-06-15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1. 2

이사 38장 16절
주님, 사람들은 주님 안에서 살아가고, 제 목숨은 주님께 달려 있나이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