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현장 돋보기] 이제는 보여주세요

장현민 시몬(보도제작부 기자)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영국 자선재단 옥스팜이 지난달 전 세계의 경제적 불평등 상황을 정리한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를 보면 2020년 3월 이후 세계 인구의 99는 소득이 줄었다. 이 가운데 1억 6000만여 명은 빈곤층으로 전락했다. 반면 세계 억만장자 2700여 명은 같은 기간에 자산이 5조 달러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불평등 확대는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5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하위 10 대비 중위소득 배율은 2019년 5.1배에서 2020년 5.9배로 확대됐다. 중위소득은 거의 그대로였지만 하위소득이 감소한 탓이었다.

안팎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대선을 앞둔 정치권에서는 전혀 다른 모습이 펼쳐지고 있다. 불평등 확산 등 산적한 현안보다 각자 과거의 잘잘못을 가리는 데 더 집중하고 있다. 그 외의 현안은 뒷전으로 밀린 모양새다. 지난 9일 열렸던 대선 후보들의 복지 공약을 평가하는 토론회에서는 후보들이 불평등 해소에 큰 관심이 없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올 정도였다. 한 유력 후보는 정책 질의에 서면 답변조차 하지 않았다. 정책에 대한 평가와 다양한 의견을 들어볼 수 있는 자리를 스스로 포기했다는 게 못내 아쉽다.

답변을 제출한 후보들의 공약 역시 좋은 평가를 듣지 못했다. 예전에 나온 정책을 재탕한 경우도 많았다. 대부분 후보가 복지 확대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지만, 일부는 감세를 언급하는 등 말의 앞뒤가 맞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현실성 측면에서 의문이 드는 정책도 다수 눈에 띄었다.

지난 2015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부의 불평등을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지목했다. 그러면서 부의 불평등과 경제적 소외 속에서 경제가 죽어간다고 우려했다. 이어 교황은 불평등 극복의 선결 조건으로 ‘부의 불평등 구조를 없애겠다는 결심’을 제시했다. 지금 대선에 도전하고 있는 후보들은 불평등 극복에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갖추고 있을까? 물음표는 여전히 남아있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2-02-16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0. 27

시편 89장 2절
저는 주님의 자애를 영원히 노래 하오리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