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 CPBC 뉴스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보도로 시작합니다.
서울시가 최근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난자냉동 시술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난자냉동 지원은 전국 최초인데다, 미혼 여성도 지원하겠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는데요.
하지만 난자냉동 지원으로 저출산을 해결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난자냉동 시술에 윤리적인 문제는 없을까요?
김혜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포털 사이트 검색창에 ‘난자냉동’이라는 단어를 쳐봤습니다.
난자냉동 시술을 하는 병원들이 주르륵 뜨고, 시술 후기를 공유하는 글도 넘쳐납니다.
연예인들은 난자냉동 시술을 받은 사실을 전하며 보험 같다거나 저금한 느낌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난자를 미리 채취해 얼려두는 여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냉동 난자는 2012년 4,926개에서 2021년 6만 6,752개로 13.5배나 급증했습니다.
미혼 여성은 늦은 결혼과 출산이 난임으로 이어질까봐, 기혼 여성은 경력 단절 없이 출산을 미루려는 목적으로 난자냉동 시술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난자냉동은 미국에서도 유행입니다.
미국 뉴욕타임즈는 최근 난자냉동 비용이 저렴한 스페인, 체코 등으로 난자냉동 원정을 겸해 휴가를 가는 여성이 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가톨릭교회는 난자냉동이 유행처럼 번지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냉동난자를 통한 임신은 체외수정을 전제로 하기에, 인간 생명이 부부 사랑의 결실이 아니라 제3자의 개입에 의해 생산된다는 점을 가장 우려합니다.
<정재우 신부 / 가톨릭대 생명대학원장>
"난자냉동은 체외수정이 갖고 있는 윤리 문제와 다 연결되어 있습니다. 인간 생명 배아를 인위적으로 만들고 조작하고 그리고 선별하고 아이를 만들어내는 그런 차원에서 윤리적인 문제가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고요."
여기에다 난자냉동 시술 과정에서 여성의 몸에 무리가 따르고 여성이 도구화되는 것도 우려스러운 부분입니다.
실제로 가능한 한 많은 난자를 채취하기 위해 과배란 주사를 맞고 과배란증후군으로 고생하는 여성이 적지 않습니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가 지난달 초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30~40세 여성들의 난자냉동 시술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첫 시술 비용의 절반, 최대 200만원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인데, 미혼 여성까지 지원 대상에 포함시켰습니다.
서울시는 결혼을 했든 안 했든 가임력 보존을 지원하는 취지라고 밝혔습니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도 지난달 말 난자냉동 시술 지원을 담은 저출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정부 지원 대상에선 미혼 여성이 빠져 있는데, 언론들은 이를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가톨릭교회는 난자냉동 시술 지원으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정재우 신부 / 가톨릭대 생명대학원장>
"당장 아이를 만드는 그 부분만 들어갈 것이 아니라, 자녀는 축복이고 선물이라고 하는 의식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그런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런 쪽으로 얘기를 해야 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의학기술이 아무리 발전했다고 해도 인간의 탄생은 하느님의 영역이라는 것.
그리고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선 인식 개선과 양육 친화적인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는 것.
가톨릭교회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CPBC 김혜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