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4일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하느님 자비주일 특집] "하느님의 자비주일" 유래와 파우스티나 성녀

말·행동·기도의 자비 실천이 절실한 시대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 폴란드 와기에브니끼 자비의 성모수녀원 마당에 있는 하느님의 자비상.
이 수녀원은 파우스티나 성녀가 수도 생활을 하고 묻힌 곳으로 지금도 순례객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자비 메시지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이 시대 사람들에게 한 줄기 빛을 던져주는 특별한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000년 4월 30일 `하느님 자비의 사도`로 널리 알려진 마리아 파우스티나 수녀(1905~1938)를 시성하면서 하느님 자비를 특별히 기릴 것을 당부했다. 이에 교황청 경신성사성은 2001년부터 부활 제2주일을 하느님의 자비주일로 지내도록 했다.

 교황이 마리아 파우스티나 수녀를 새천년기 첫 성인으로 선포한 것은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하느님의 자비`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교황은 이미 1980년 발표한 회칙 「자비로우신 하느님」에서 "현대의 사고방식은 과거의 사고방식보다 훨씬 더 자비의 하느님에 대립되는 듯하며, 자비라는 이념 자체를 생활에서 배제하고 인간 마음에서 제거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며 "교회는 사람들을 구세주의 자비의 샘에 가까이 가게 만들 때에 본연의 삶을 사는 것이며 교회는 그 자비의 관리자요 분배자다"(2, 13항)라고 강조한 바 있다.

 파우스티나 수녀는 교황이 강조한 하느님 자비의 증거자였다. 폴란드 출신인 파우스티나 수녀는 어린 시절부터 다른 이를 돕는 일이라면 몸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가난한 이들에 대한 연민이 각별했다. 하느님과 일치하는 삶을 추구하던 파우스티나는 20살 때 자비의 성모수녀회에 입회해 주방과 정원사, 문지기 등의 소임으로 13년을 살았다.

 그는 수도생활 중에 계시와 환시같은 특별한 은사를 체험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사명이 하느님의 자비를 전하는 데 있음을 깨달았다. 그는 1934년 고해사제의 뜻에 따라 영적 체험을 통해 받은 하느님 메시지를 일기 형식(「나의 영혼 안에서 하느님의 자비」)으로 발표했다.

 파우스티나 수녀는 일기에서 "하느님 자비를 얻기 위해선 하느님께서 자신의 죄와 벌을 완전히 용서해 주실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말과 행동, 기도를 통해 자비를 실천해야 한다"며 "언제 어디서나 이웃에게 자비를 보여야 하고 자비를 피하거나 변명해서는 안 된다"는 하느님 메시지를 전했다. 메시지에는 "첫째는 행동, 둘째는 말, 셋째는 기도로 자비를 베풀어야 하며 아무리 돈독한 신앙을 가져도 행동이 따르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성녀의 일기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자비 상본을 만들고, 자비 축일을 지내며 자비 시간을 가지라고 말씀하셨다.

 하느님의 자비 상본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에 `예수님, 저는 당신께 의탁하나이다`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손과 발에는 십자가에 못 박힌 흔적이 있다. 심장에서는 두 줄기 빛이 발하고 있다. 이는 예수께서 1931년 파우스티나 수녀에게 나타나 당신 모습을 그려 전하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백영민 기자 heelen@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2-04-15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8. 24

시편 118장 28절
당신은 저의 하느님, 당신을 찬송합니다. 저의 하느님, 당신을 높이 기립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