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지 올해로 15년이 됐습니다.
관련 기업인들은 지금이라도 특별법을 제정해 실질적인 피해보상에 나서라고 요구했습니다.
윤재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998년 시작된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건 10년 뒤인 2008년 7월.
남측 관광객 박왕자 씨가 북한군의 총에 맞아 숨지면섭니다.
이후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에 따른 5·24 대북 제재조치와 2016년 개성공단 폐쇄 등이 이어지며 남북 경협은 모두 멈춰선 상황.
북한은 2016년 3월 금강산을 포함한 대북 투자기업들의 투자자산을 몰수하고 모든 계약을 파기했습니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난 2019년 10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남북경제협력의 상징 중 하나인 금강산 관광단지의 남측 시설에 대한 철거를 지시합니다.
그리고 지난 5월.
북한은 금강산 관광지구 내 우리측 자산뿐 아니라 금강산호텔 등 자신들 시설까지도 철거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관련 기업인들은 정치적 이유로 이뤄진 경협 중단으로 사업 기반은 없어지고 지난날 어렵게 쌓아 올린 남북경협의 뿌리가 송두리째 날아가 버렸다고 성토했습니다.
"피해보상 특별법을 즉각 제정하라! 제정하라! 제정하라!"
그러면서 정부의 남북경협 중단 조치로 지난 15년간 희망 고문을 당해 온 기업인들에게 피해보상 특별법을 제정해서 실질적인 보상에 나서라고 촉구했습니다.
<전경수 / 사단법인 금강산기업협회 회장>
"우리 남북경협 기업들의 손실보전. 투자금 전액 지급 및 대출금과 이자 등을 남북경협 기업 피해보상 특별법 제정으로 실질적인 보상과 정리해 줄 것을 촉구합니다."
기업인들의 피해보상 요구에 정부는 법이 없어 보상할 수 없다는 답변만 해 왔다며 그것도 정부의 준비 부족이고 책임이지 기업들이 책임질 일은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올해 2월 국회에 피해보상 특별법을 대표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은 금강산관광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한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습니다.
<우상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 특별법 대표발의>
"대한민국 정부는 무책임하고 북한 정부는 옹졸하다. 제가 내린 결론입니다. 지금이라도 남과 북은 금강산관광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공식, 비공식 접촉을 해야 된다."
기업인들은 다음 세대들이라도 남북경협을 계승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통일부 장관에게 보내는 회견문을 전달했습니다.
CPBC 윤재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