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 한국의 사회지표’ 발표, 갈등 인식률 82.9%
국회 본회의장. 가톨릭평화신문 DB
우리 사회 보수와 진보의 진영논리를 둘러싼 사회갈등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3월 26일 발표한 ‘2023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보수와 진보가 사회갈등’이라는 인식률은 82.9로 ‘종교 간’, ‘남자와 여자’ 등 사회갈등 지표 8개 항목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대에서 ‘보수와 진보’ 사회갈등 인식률이 80를 넘었고, 특히 40대는 가장 높은 84.2에 달했다. 3년 전인 2020년의 85.4보다는 소폭 낮아졌지만, 22대 총선을 앞둔 여야 공방, 장외 대립, 정치인 관련 각종 수사 및 대립 등 정치권이 보인 모습이 두루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사회갈등 인식률’은 우리 사회에서 특정 항목의 갈등이 약간 심하거나 매우 심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을 말한다.
‘종교 간’ 사회갈등 지표가 차지하는 비율은 42.3로, 3년 전인 2020년 55.4에 비해 13.1포인트 감소했다. 2020년은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신흥 교단인 신천지를 비롯해 개신교회 등 종교 시설에서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해 종교에 대한 인식이 나빴던 시기이기도 하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가 진정되고 종교 활동이 상당 부분 정상화되면서 종교가 사회갈등을 야기한다는 인식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2면으로 이어짐.
또 2020년 48.8까지 치솟았던 ‘남자와 여자’ 사이의 사회갈등 인식률도 42.2로 6.6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00년을 전후로 각종 차별 논란이 불거지면서 극심했던 젠더(성별)갈등이 다소 진정된 것으로 풀이된다.
나머지 조사 항목 사회갈등 인식률은 근로자와 고용주(68.9), 개발과 환경보존(61.4), 수도권과 지방(56.8), 노인층과 젊은층 (55.2) 순이었다.
통계청은 매년 ‘한국의 사회지표’를 조사할 때 우리 사회의 갈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있다. 조사 항목은 △진보와 보수 △빈곤층과 중산층 △근로자와 고용주 △개발과 환경보존 △수도권과 지방 △남자와 여자 △종교 간 △노인층과 젊은층 등 8개다.
아울러 이번 한국의 사회지표 조사 결과, 지난해 대한민국 총인구는 5171만 명으로 집계됐다. 다만, 지난해(0.72)와 같은 합계출산율 하락 추세가 계속될 경우, 50년 후인 2072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3622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2022년 전체 가구 수는 2238만 가구로 전년보다 36만 가구 늘었지만, 평균 가구원 수는 2.2명으로 전년(2.3명)보다 0.1명 감소했다. 특히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34.5, 2인 가구 28.8로 조사되는 등 1·2인 가구가 63.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인 가구(19.2)와 4인 가구 이상(17.6)은 감소세다.
이상도 선임기자 raelly1@c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