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4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새 교황 레오 14세] 새 교황은 누구인가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된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은 가톨릭교회 역사상 첫 미국 출신 교황이다. 프레보스트 추기경은 5월 8일(로마 현지시간) 교황청 시스티나경당에서 열린 콘클라베 네 번째 투표에서 교황으로 선출된 후 교황명으로 ‘레오 14세’를 택했다. 레오 14세 교황은 콘클라베가 열리기 전, 미국 추기경들 중 성 베드로의 후계자가 될 가장 큰 잠재력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 세계 가톨릭교회를 이끌게 된 레오 14세 교황은 누구인지 알아본다.



최초의 미국 출신 대통령


콘클라베가 열리기 전인 4월 25일, 이탈리아의 유력 일간지 ‘라 레푸블리카’(La Repubblica)는 프레보스트 추기경을 조명하며 “국제적이면서도 수줍음이 많고, 보수적인 동시에 진보적인 인물로 여겨진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라 레푸블리카의 이러한 분석처럼, 레오 14세 교황은 콘클라베에 들어설 당시부터 다른 추기경들과 폭넓은 인맥을 형성하고 있었다. 전 세계에서 모인 추기경들은 서로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 교황청 주교부 장관으로 활동해온 그의 이력은 예외였다. 레오 14세가 걸어온 삶의 여정과 성직자로서의 경력은 그를 자연스럽게 국제적인 인물로 성장하게 만든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레오 14세 교황은 1955년 9월 14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올해 만 69세다. 레오 14세 교황이 스스로 명확하게 말한 적은 없지만, 그는 흑인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레오 14세 교황의 외할머니 루이스 바쿠이에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태어난 서인도제도 혼혈 흑인으로 알려졌다. 레오 14세 교황의 모계 가족은 20세기 초까지 흑인들이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크레센트에서 거주하다가 시카고로 이주했다. 



교회법 전공하고, 페루에서 20년 넘게 활동


레오 14세 교황은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가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운영하는 빌라노바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해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77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소재 ‘착한 의견의 성모 관구’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에 입회해 수련기를 시작했다. 이후 1978년 9월 첫 서원, 1981년 8월 장엄 서원을 한 뒤 1982년에는 시카고 가톨릭 신학원에서 신학 학위를 받았다.



또한 수도회로부터 파견받아 로마 교황청립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전공했다. 로마에서 체류하던 중 1982년 6월 19일 사제품을 받았으며, 학업을 계속 이어가 1984년에 교회법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1985~1986년 페루 피우라주 출루카나스에서 선교활동을 했고 1987년에는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에서 지역 장상의 역할’이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에서 교회법 박사학위를 받았다.


레오 14세 교황은 1987년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착한 의견의 성모 관구 성소 책임자 겸 선교 책임자로 선임됐지만, 1988년 페루 트루히요 선교지로 파견돼 1999년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시카고 관구장으로 선출될 때까지 주로 페루에서 활동했다. 이어 2001년 열린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총회에서 총장으로 선출됐으며, 2007년 총회에서 연임됐다. 


2013년 10월,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시카고 관구로 돌아온 레오 14세 교황은 양성 책임자 겸 관구장 대리로 봉직하던 중 2014년 11월 3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페루 치클라요교구장 서리로 임명돼 11월 7일 취임했다. 이어 12월 12일 과달루페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축일에 페루 북부 치클라요교구 주교좌성당에서 주교품을 받았으며, 이듬해 9월 26일 치클라요교구장 주교로 임명됐다. 


2020년 4월 15일에는 페루 카야오교구장 서리로도 임명돼 2021년 5월까지 재임했다. 레오 14세 교황이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선교사와 주교로서 페루에서 활동한 기간은 20년이 넘는다. 미국과 페루 시민권 모두를 가지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레오 14세 교황은 2023년 1월 30일 교황청 주교부 장관 겸 교황청 라틴아메리카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 대주교가 됐고 그해 9월 30일 추기경에 서임됐다. 레오 14세 교황은 교황청 주교부 장관 외에 복음화부의 첫복음화와 신설개별교회 부서, 신앙교리부, 동방교회부, 성직자부, 축성생활회와 사도생활단부, 문화교육부, 교회법부, 바티칸시국위원회 위원도 역임했다.



레오 14세 교황은 2023년 5월 주교부 장관으로서 주교들의 역할에 대해 역설하며 특히 교회 일치를 증진할 의무를 강조했다. 교황은 “일치의 부족은 교회에 매우 고통스러운 상처를 준다”며 “교회의 분열과 양극화는 교회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 주교들은 교회의 일치와 친교 증진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주교들은 하느님과 동료 주교들, 사제와 모든 하느님의 백성과 친밀해야 하고, 홀로 떨어져 있으려는 유혹에 약해지거나 사회나 교회에서 특정 수준을 정해 놓고 만족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레오 14세 교황은 미국과 페루, 지역교회와 보편교회에서 다양한 역할과 문화를 체험하면서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에 능통하고, 라틴어와 독일어를 읽을 수 있을 정도로 탁월한 언어 구사 능력을 지니고 있다.


■ 레오 14세 교황 약력 1955년 9월 14일 미국 시카고 출생 1977년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입회 1978년 9월 첫 서원 1981년 8월 29일 장엄 서원 1982년 6월 19일 사제수품 1984년 교황청립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에서 교회법 석사학위 취득 1985~1986년 페루 피우라주 출루카나스에서 선교활동 1987년 교황청립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에서 교회법 박사학위 취득 1988~1998년 페루 트루히요 선교지 파견 1999년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시카고 착한 의견의 성모 관구장 선출 2001~2013년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총장 재임 2013년 10월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시카고 관구 양성 책임자 겸 관구장 대리 2014년 12월 12일 주교수품 2015년 9월 26일 페루 치클라요교구장 주교 임명 2020년 4월 15일 페루 카야오교구장 서리 임명 2023년 1월 30일 교황청 주교부 장관 겸 라틴아메리카위원회 위원장 임명 2023년 9월 30일 추기경 서임 2025년 5월 8일 제267대 교황 선출
박지순 기자 beatles@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5-05-13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5. 14

1요한 4장 8절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느님을 알지 못합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