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4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순례, 걷고 기도하고] 원주교구 풍수원성당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경기도 양평과 강원도 횡성의 경계인 도덕고개를 넘자, 강원도 첫 마을 ‘풍수원(豊水院)’이 한 눈에 들어온다. 장호원이나 조치원, 신례원, 이태원처럼 ‘원’(院)을 품은 곳은 예로부터 관원이나 나그네가 말을 세워놓고 쉬어가던 장소였다. 풍수원 또한 강원에서 한양으로 혹은 한양에서 강원으로 향하던 이들이 하룻밤 머물거나 잠시 숨 돌리던 고장이었으며, 이름 그대로 물이 풍부한 지역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박해를 피해 피난길에 나선 신자들이 풍수원에 정착한 것은 220여 년 전 일이다. 신유박해(1801년) 이후 경기도 용인에 살던 복자 신태보(베드로)를 비롯한 40여 명이 당시 깊은 산골이던 이곳에 터를 잡아 교우촌을 이뤘다. 그리고 80여 년간 성직자 없이 신앙생활을 이어갔다.

 

 

성당 초입에 ‘1888년, 유적지 풍수원성당’이라 새겨진 커다란 비석이 서 있다. 비석에 새겨진 그해 프랑스 선교사 르메르(Le Merre, 파리외방전교회) 신부가 초대 본당 신부로 부임해 초가집 여러 채를 이은 ‘초가 사랑방’을 성당으로 사용했다. 본당 역사의 시작이다. 당시 본당은 강원도 전역과 경기도 일부를 포함하는 12개 군 29개 공소에 신자 수는 2천여 명에 이르렀다.

 

 

입구를 지나 오르막을 한 걸음 한 걸음 걷다 보면 정면에 커다란 느티나무가 모습을 드러낸다. 걸음이 빨라진다.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딜 때마다 붉은색 벽돌 옷 입은 성당이 한 뼘씩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하늘 높이 솟은 뾰족탑과 십자가, 붉은색과 회색 벽돌이 어우러진 단정하고 고풍스러운 성당을 온전히 볼 수 있는 자리에 다다랐다. 


 

 

성당과 어우러진 느티나무의 푸르름. 그리고 나무 그늘에서 묵주기도를 봉헌하며 미사를 기다리는 신자들. 늦여름 순례자의 눈앞에 펼쳐진 성당 마당은 한 폭의 그림 같다. 드라마와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것도 우리가 ‘옛 성당’ 하면 떠오르는 바로 이런 아름다움 때문일 것이다.

 

 

본당 역사를 이야기할 때 본당 2대 주임 정규하(아우구스티노) 신부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1896년 강도영(마르코)·강성삼(라우렌시오) 신부와 함께 한국 땅에서 처음 사제품을 받았다. 정 신부는 수품 후 곧바로 본당에 부임해 1943년 선종할 때까지 47년간 이곳에서 사목했다.

 

 

정 신부는 자신의 돈과 신자들의 헌금으로 초가 성당을 대신할 새 성당을 짓기 시작했다. 남녀 불문하고 신자 모두 힘을 보탰다. 중국인 목수 진 베드로와 함께 서양식 벽돌을 굽고 벽을 쌓았다. 

 

 

그리고 착공 1년 만에 한국인 사제가 지은 첫 서양식 성당이자 강원 최초의 성당이 하느님께 봉헌된다.

 

 

좌우 기둥과 아치형 천장이 조화를 이루는 성당 내부는 아늑하고 정겹다. 옛 모습 그대로인 ‘십자가의 길’이 따스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제대 뒤 스테인드글라스는 은은한 빛을 쏟아낸다. 미사에 앞서 묵주기도가 봉헌된다. 

 

 

성당과 한 형제처럼 벽돌 옷 입은 사제관은 성당 뒤편에 있다. 1912년 지어진 것으로 현재는 역사관으로 사용된다. 본당 설립 당시 사용했던 촛대와 십자가, 성합, 기도서를 비롯해 밭에서 발견된 제작연대 미상의 예수성심상, 정규하 신부가 사용하던 책상 등 다양한 유물이 전시돼 있다.


 

 

성당 왼편으로 발길을 옮기면 커다란 예수성심상 곁에서 십자가의 길이 시작된다. 숲이 선사하는 싱그러운 공기와 어우러진 호젓한 등산길. 이철수 판화가가 표현한 예수님 수난 장면을 한 처 한 처 묵상하며 오르다 보면 묵주동산에 다다른다. 땅에 묻힌 축구공 크기 묵주알을 하나하나 지나며 성전에서 미처 하지 못한 성모송을 봉헌한다.

 

 

묵주동산을 지나 내려오면 넓은 광장 곁으로 유물전시관이 자리하고 있다. 옛 농촌의 일상에서 쓰이던 농기구와 민속품뿐 아니라 본당 설립 초기 사용하던 성광과 성합, 제병기, 정규하 신부가 사용하던 병자성사 가방, 십자가 등 신앙인들의 자취가 서린 유물도 만날 수 있다.

 

 

유물전시관 옥상에 옹기 100여 개가 햇살을 맞이하고 있다. 그 너머로는 가마터가 옛 모습 그대로 보존돼 있다. 옹기를 구워 생계를 이어가는 어려움 속에서도 신앙공동체를 이뤘던 박해시기 풍수원 교우촌의 모습이, 가마터에서 벽돌을 굽고 어깨에 지고 나르며 하느님 집을 짓기 위해 비지땀 흘렸을 옛 신자들의 헌신이 자연스레 머릿속에 떠오른다. 저 옹기들처럼 ‘옹기종기’ 모여 앉아 하느님을 찬미 찬양하며 기도했을 신앙 선조들의 모습을 가슴에 담으며 성당을 나선다.



 

 

◆ 순례 길잡이
-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경강로유현1길 30
- 미사: 주일 오전 11시(토 오후 7시) / 화~토 오전 11시
- 성체 현시: 화~금 오후 1시30분~2시30분
- 문의 : 033-342-0035 본당 사무실


이승환 기자 lsh@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5-09-03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9. 4

시편 4장 8절
저들이 곡식과 햇포도주로 푸짐할 때보다 더 큰 기쁨을 당신께서는 제 마음에 베푸셨습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