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잼버리 사태’ 이후 1년 반 동안 이어졌던 여성가족부의 장관 공백기가 막을 내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10일) 원민경 여가부 장관 후보자를 장관으로 임명한 것이다. 이에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을 비롯해 수장 공백으로 위축됐던 여가부의 위상과 기능이 다시 강화될 수 있을지 관심을 끌고 있다.
원 장관은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이자 한국 여성의 전화 이사를 역임한 변호사 출신이다. ‘n번 방 사건’과 관련해 공동 변호인단에 참여하기도 했다.
원 장관은 취임사에서 “지난 25년 동안 여성 인권 보호의 현장에서 만난 수많은 분의 염원을 가슴에 새기며 이 자리에 섰다”며 “현장에서 피어나는 작지만 진솔한 소망이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또한 “여가부는 성평등가족부라는 이름으로 확대 개편을 앞두고 있다”며 “단순히 간판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성평등과 가족·청소년 정책의 범부처 컨트롤타워로 위상과 기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원 장관의 임명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다. 청문회 당시 교회가 반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 등을 추진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쳤기 때문이다.
포괄적 차별금지법은 성별·국적·성적 지향·나이 등 여러 형태의 차별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중 교회가 특히 우려하는 부분은 ‘성적 지향’에 대한 것이다.
교회는 성적 지향에 대한 차별 금지가 동성애를 조장하고, 동성애 행위를 반대하는 교회의 사목 방향을 법적으로 제재함으로써 종교의 자유가 침해될 수 있다는 데 꾸준히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사안과 관련해 후보자였던 원 장관은 “논의의 장을 마련해주면 사회적 합의와 논의의 절차를 거쳐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