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7 기후정의행진’ 사제·평신도 등 참가... 온실가스 감축 등 6대 요구안 발표
가톨릭기후행동 고문 강우일 주교(제대 뒤 가운데)가 9월 27일 ‘927 기후정의행진’ 사전 행사로 거행된 거리미사를 주례하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을 넘어 모든 생명체의 삶과 권리 보장을 촉구하는 3만여 명의 목소리가 서울 도심에서 울려 퍼졌다. 가톨릭기후행동과 종교환경회의를 비롯한 종교·시민·사회단체는 9월 27일 서울 광화문 동십자각 일대에서 ‘기후정의로 광장을 잇자’란 주제 아래 ‘927 기후정의행진’을 개최했다. 주교부터 사제·수도자·평신도·시민들이 일일 ‘기후 사도’가 되어 “공동의 집 지구를 함께 지키자”고 외쳤다.
가톨릭기후행동 고문 강우일(전 제주교구장) 주교는 이날 행진에 앞서 서울 보신각 앞에서 가톨릭기후행동 공동대표 양두승(작은형제회) 신부, 종교환경회의 상임대표 양기석(수원교구 생태환경위원장) 신부 등 사제단과 공동집전한 미사에서 “행진에 참여한 모든 이가 지구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기후 사도가 될 수 있도록 주님 축복을 청한다”고 했다.
강 주교는 강론에서 “이명박 정부 당시 4대강 사업으로 무려 16개 보를 설치하고 수심을 6m 이상 일괄 유지하면서 강물을 고여있는 호수로 만들었다”며 “강물은 녹색 빛을 띠었고, 연못에나 사는 연꽃도 피어났으며, 녹조 발생이 확대되면서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물질도 발생하기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마다 여름철 4대강 곳곳에서 녹조로 물고기 수십만 마리가 떼죽음 당해 둥둥 떠올랐다”면서 “창조주께서 강을 흐르라고 만들어놨는데, 강물 흐름을 막고 그 물을 고이게 하는 것은 생명에 반하는 일”이라고 했다.
9월 27일 ‘927 기후정의행진’ 도보 행진에서 수도자들이 피켓을 들고 거리를 걷고 있다.
9월 27일 '927 기후정의행진' 사전 행사로 거행된 거리미사 뒤 박성재 신부 등 풍물팀이 공연하고 있다.
9월 27일 '927 기후정의행진' 사전 행사로 거행된 거리미사에서 한 신자가 조끼 위에 '바다가 아프면 내 몸도 아프다' 문구가 새겼다.
9월 27일 '927 기후정의행진' 사전 행사로 거행된 거리미사에 수도자, 신자들이 참여한 모습.
가톨릭기후행동 고문 강우일 주교가 9월 27일 '927 기후정의행진' 사전 행사로 거행된 거리미사를 주례하고 있다.
그러면서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회칙 「진리 안의 사랑」을 인용해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자연에는 무분별하게 착취하지 않고 현명하게 사용하기 위한 목적과 기준, 공식이 담겨있다’고 밝혔는데, 우리 인간이 자연의 공식을 읽지 못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며 “근시안적 개발과 수탈, 자연훼손은 아무리 정부 공권력이라 해도 무지이고 횡포”라고 강조했다. 강 주교는 새만금 간척지 사업과 부지 내 신공항 건설에 대해서도 비판하며 철새 도래지 훼손을 우려했다.
이날 사제·수도자·평신도들은 미사 후 보신각에서 조계사를 거쳐 광화문까지 행진하며 모든 피조물을 보호해야 하는 당위성을 전했다.
참가자들은 한목소리로 △기후정의에 입각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전환 계획 수립 △탈핵·탈화석연료·공공 재생에너지 확대 △생태계 파괴 사업 중단 △모든 생명의 존엄과 기본권 보장 △농업·농민의 지속가능성 보장 및 먹거리 기본권 수립 △전쟁·학살 종식 등 6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행사에는 주최측 추산 3만여 명이 함께했다.
이준태 기자 ouioui@c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