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그간의 공부를 엮은 것이지만, 제 신앙 여정을 오롯이 담아낸 결과물이기도 합니다.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이 더 정확히, 더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저서 「십자가의 성 요한의 하느님과의 합일론」으로 제29회 한국가톨릭학술상 연구상을 수상한 김광서 신부(토마스 아퀴나스·가르멜 수도회 마산 수도원)는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은 한 마디로 ‘사랑의 영성’임에도, 성인 저서에 있는 ‘끊고 비우고 없애라’는 문장이 사람들에게 알려지면서 인간 한계를 넘어서는 극기의 영성으로 오해하는 이가 많음을 김 신부는 안타까워했다.
김 신부는 “불안과 상처를 품고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불완전함을 온전히 품어주는 사랑의 영성은 큰 위로가 될 것”이라며 “깊이 있게 하느님을 체험하고 싶은 이들이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을 제대로 이해해보면 좋겠다”고 전했다.
깊이 있는 하느님 체험. 김 신부 또한 그것에 천착해 왔다. 절대적 진리를 좇아 철학을 전공했고, 토마스 아퀴나스와 스콜라 철학을 거쳐 가르멜 영성을 접하며 예수의 성녀 데레사와 십자가의 성 요한을 만났다. 그리고 그들이 체험한 하느님을 알고 싶어 수도회에 입회했다.
맨 처음, 절대적 진리를 추구하던 마음을 담아 토마스 아퀴나스를 수도명으로 택한 김 신부는 이 모든 과정을 “하느님을 만나는 여정이었다”고 설명했다. 김 신부는 “처음에는 개인적 관점에서 하느님을 알고 싶은 마음이 컸는데, 입회 후에는 사도직으로서의 소명의식이 커져, 가르멜 영성을 알고 싶어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고 덧붙였다.
「십자가의 성 요한의 하느님과의 합일론」은 이러한 김 신부의 여정을 그대로 담았다. 집필은 그의 박사 논문에서 시작됐다. 2006년 스페인 부르고스 영성신학 대학원에서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으로 박사과정을 마치며 발표한 논문을, 귀국 이후 틈틈이 한국어로 번역했고 새롭게 연구한 내용들까지 총망라해 2024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총 3부 980쪽의 책은, 십자가의 성 요한의 인간에 대한 관점부터 하느님과의 합일에 이르는 과정까지를 체계적으로 담고 있다. 특히 저서의 마지막에서 다루는 ‘그리스도 인성’ 부분은 책의 핵심이자, 김 신부의 향후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
김 신부는 “기존의 연구들은 초월적이고 절대적인 천상의 모습으로 하느님을 이해하는 데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그 부분을 넘어 십자가의 성 요한의 그리스도론에 집중해 볼 것”이라고 전했다.
■ 김광서 신부는
가르멜 수도회 마산 수도원 사제로, 1999년 사제품을 받았다. 스페인 아빌라의 신비신학 대학원에서 가르멜 영성을 익히고, 2006년 스페인 부르고스 영성신학대학원에서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에서의 사랑의 작용과 특성’ 주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가르멜 수도회 인천 수도원장과 재속회 지도신부, 수도원 참사 등을 역임하며 학술 연구활동을 꾸준히 이어 왔다.
이나영 기자 lala@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