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살률이 13년 만에 역대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자살 예방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자살사망자 수는 9324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 883명 줄었지만, 여전히 자살률 1위 OECD 국가라는 오명은 벗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자살 예방 대책 관계부처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각 부처가 유튜브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울 통해 자살유발 정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보건복지부는 “정보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자살유발정보 유통방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최근 관련법이 개정됐다”고 밝혔다. 방송사와 OTT 플랫폼 등을 대상으로도 ‘영상콘텐츠 자살장면 가이드라인’을 준수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경찰청은 민경 협력체인 누리캅스 등을 활용해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를 차단하고, 관련 정보 유포자를 검거하겠다는 방침이다.
교육부는 자살 위기학생이 24시간 문자로 상담할 수 있도록, SNS 채널 등을 운영하고 있다.
성평등가족부는 SNS 내 자살·자해 등 위기상황 암시글을 게시한 청소년을 찾아 상담 서비스를 연결하고 있다.
외에도 보건복지부는 직장 내 괴롭힘 등으로 인한 자살 예방을, 금융위원회는 상환 능력을 상실한 개인과 소상공인의 장기연체채권을 일괄 매입해 소각·채무조정하는 새도약기금을 지난달부터 출범했다.
윤 국조실장은 “자살 위기는 경제적·사회적·관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다”며 “자살을 유도하는 영상 콘텐츠 등이 뉴미디어를 통해 확산하지 않도록 관련 법 개정과 같은 개선 사항을 조속히 추진해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