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8일
기관/단체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교회사공개대학⑤] 전주의 기해박해(1839년) 순교자

백병근(한국교회사연구소 연구원)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1801년 신유박해 후 천주교에 대한 박해는 잠잠했다. 물론 지방관의 과잉 색출이나 밀고 등에 의한 크고 작은 박해는 계속됐다. 그럼에도 신자들은 교회 재건과 성직자 영입운동을 전개하며 새로이 공동체를 이루고 신앙생활을 이어갔다.

 이 와중에 1827년 2월 전라도 곡성의 한 교우촌에서 사소한 다툼이 일어나 곡성현감에게 천주교 신자를 밀고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이 사건이 확대되면서 곡성에서 시작된 박해가 장성과 순창, 임실, 용담, 금산, 고산, 전주로 번져 정해박해가 발발한다. 그해 4월 전주 진영은 몇몇 신자들에 대한 밀고를 받고 포졸을 경상도와 서울로 파견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정해년 2월에서 5월 사이에 전라와 경상, 서울, 충청 등지에서 무려 500여 명에 이르는 신자들이 체포됐다.

 박해가 전라도에서 경상도로 확대된 것은 전주 출신 신태보가 상주의 잣골(현 경북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 교우촌에서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잣골교우촌뿐 아니라 상주 멍에목(현 경북 문경군 동로면 명전리)과 앵무당(현 경북 상주시 화북면 평온리), 순흥 곰직이(현 경북 봉화군 물야면 오전리) 등지에서도 여러 신자들이 체포됐다. 당시 전라감사 이광문은 체포된 신자들을 귀양 보내거나 사형선고를 해놓고도 무한정 옥에 가둬두기만 했다. 정해박해로 전라도 교회는 거의 궤멸 상태에 빠졌다.

 이처럼 정해박해 때 체포된 신자들 가운데 전주에서 기해년(1839년)에 순교한 신자는 5명이나 된다. 1827년에 체포됐으니 무려 13년 가까운 세월을 옥에 갇혀 있다가 순교한 셈이다. 이런 가운데서도 성직자를 영입하기 위한 신자들의 노력이 이어지고 교황청의 관심 및 후원으로 1831년 9월 9일 조선대목구가 설정되기에 이른다.

 정해박해 때 체포돼 기해박해 때 순교한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신태보(베드로, ?~1839)다. 경기도 용인 근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이천 고을에 있는 동산 밑(현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동산리)에서 살았다. 1790년대 초 천주교를 접한 듯하지만 신심이 그리 깊지는 않았다. 사촌 이여진(요한, ?~1833)과 함께 주문모 신부를 만나기 위해 서울을 왕래하며 노력했지만 만나지는 못했다. 그저 마음속으로만 신앙을 간직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던 그가 용인의 가족들을 이끌고 강원도 산골로 이주해 교우촌을 이루면서 신심서적을 100권이나 필사하며 교회 재건에 나선다. 재건의 최종 도달점은 성직자 영입이었다. 1811년 이여진이 베이징 밀사를 자원하자 신태보와 권기인, 홍우송, 조동섬, 한 토마스 등은 교황 비오 7세와 베이징 주교에게 보내는 2통의 서한을 작성했고 이여진이 동지사 일행과 함께 베이징 입성에 성공한다. 이것이 이른바 그 유명한 `신미년 서한`이다. 이 서한은 1812년 베이징 교회에 접수됐고, 이여진은 1812년 말 재차 베이징에 들어가지만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원조가 단절되는 등 베이징 교회의 자체 사정으로 뜻을 이루지는 못한다.

 성직자 영입이 뜻대로 이뤄지지 않자 신태보는 여러 도를 두루 다니며 전교에 열중했다. 그러다 정해박해가 발발하면서 체포돼 전주로 이송돼 혹독한 심문과 고문을 당했다. `살이 헤져 뼈가 드러나고 앉지도 못하고 밥을 먹을 수도 없는` 고통 중에서도 동료 신자들을 밀고하지 않았다. 그렇게 12년을 더 산 그는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난 뒤 그해 5월 29일 전주장터에 끌려가 순교의 화관을 썼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그의 나이 70세 가량이었다.

 충청도 청양 수단이(현 충남 청양군 사양면 신왕리) 마을의 평민 집안 출신인 김대권(베드로, ?~1839)은 1816년 순교한 김화춘(야고보)과 함께 아버지에게서 교리를 배워 열심한 신앙생활을 했다. 공주 옹기점에서 일하다가 고산으로 이주해 교우들과 함께 신앙생활을 하던 중 동생의 순교소식을 듣고 순교 원의를 드러낸다. 그리고서 정해박해 때 체포돼 역시 12년간 옥중생활을 하다 1839년 전주장터에서 신태보 등과 함께 참수형을 받았다. 순교 당시 그의 나이는 알 수 없다.

 충청도 홍주(현 홍성) 대벌마을 양인 집안 출신의 이일언(욥, 1767~1839), 역시 홍주 양인 집안 출신의 이태권(베드로, 1782~1839), 충청도 덕산 고을 출신으로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5촌 당숙 손에서 성장한 정태봉(바오로, 1796~1839)도 정해박해 때 체포돼 12년간 수감돼 있다가 1839년 5월 29일 신태보 등과 함께 각각 72세, 57세, 43세를 일기로 전주장터에서 참수형을 당했다.

   정리=오세택 기자 sebastiano@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3-11-03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5. 18

신명 11장 1절
너희는 주 너희 하느님을 사랑하고, 그분의 명령과 규정과 법규와 계명들을 늘 지켜야 한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