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9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성소주일 특집] 나의 성소이야기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 김용태 신부(마태오·대전교구 서천본당 주임)

‘김대건 신부 후손’ 이란 운명적 부르심

순교 의미 깨달으며 뜨거운 사랑 체험

 
김용태(마태오) 신부(대전교구 서천본당 주임)는 ‘사제’, ‘신부’라는 어휘를 이해하던 무렵부터 사제가 되겠다고 말하고 다녔다. 사제성소를 발견하게 된 특별한 시점이나 계기가 따로 없이 사제 이외의 다른 길은 머릿속에 그려본 일조차 없었다.

김용태 신부는 한국인 최초의 사제이자 순교자이며 성인인 성 김대건 신부의 방계 4대손이다. 정확히 김 신부 고조 할아버지의 사촌 형님이 김대건 신부다.

김 신부와 가족 모두에게 김대건 신부의 후손이라는 사실은 커다란 자부심이었다. 김 신부뿐만 아니라 4형제 모두가 사제의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김 신부의 큰형 김선태(야고보) 신부는 대전교구에서 병원사목을 담당하고 있고 작은형 김현태 신부와 동생 김성환 신부는 대만 신죽(新竹)교구 소속으로 현지에서 사목하고 있다.

김 신부는 사제가 되기 전 가정생활이 곧 신앙생활이었고 세상에서 최고라고 말하는 것들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오직 교회 안에서 최고의 것들만이 눈에 들어오는 김 신부에게 사제로서의 삶은 당연히 최고의 삶이요 최고의 선택이 됐던 것이다.

김 신부에게 성소란 ‘하느님께 대한 더 큰 사랑’이다. ‘내가 순교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던 김 신부는 부제품을 앞두고 한 달 간 피정을 하면서 순교란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사랑하느냐 사랑하지 않느냐의 문제라는 진리를 깨달았다. 마음 속 깊은 곳에서 하느님의 사랑이 타오르는 불처럼 김 신부를 휘감는 엄청난 사랑의 체험이었다. 하느님께 대한 더 큰 사랑이 바로 사제직이고 김 신부가 고백하는 성소의 핵심이다.

김 신부는 “김대건 신부님은 순교와 사제직이 하나로 만난 제 성소의 상징과 같은 분”이라고 말했다.

김대건 신부의 후손으로서 성인과 가문에 누가 되지 않을까 하는 부담감은 늘 있어 왔다. 그러나 김 신부는 “김대건 신부님의 후손으로 느끼는 부담감은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과 같아서 긍정적 의미의 ‘건강한 부담’”이라면서 “후손으로서의 부담감은 좋은 사제로 살아가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박지순 기자>



■ 손영순 수녀(카리타스·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소외된 이들과 함께 하고픈 바람

봉사한 만큼 성소 깊이 뿌리 내려
 
 
다섯 살 꼬마는 세례를 받고 싶어도, 부모님께서 신자가 아니면 안 되던 시절이었다. 손영순 수녀(카리타스.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는 보채는 아이의 손에 이끌려 성당에 나오셔서 세례를 받으셨던 부모님으로부터 신앙을 키워나갔다.

학교와 집 사이에 있던 성당은 항상 쉼터이며 놀이터였다. 성장 후 청년 시절의 레지오마리애 활동, 주일학교 교사회, 청년회 등을 통해 신앙의 삶은 더 성장해 갔다. 그 활동들은 원래 내성적인 성품이 감춰질 정도로 사교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이었다. 8년 동안 직장생활을 할 때에도 늘 신앙은 삶의 원천이었고, 직장 안에서의 가톨릭 교우회를 만드는 용기까지 불어넣어줬다.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가톨릭교리신학원 과정을 수료하고 개신교 신학공부까지 했었다. ‘앎’은 ‘삶’을 더 풍요롭고 행복하게 해주었다.

수도 생활을 선택한 성소의 계기가 무엇이냐고 가끔은 질문을 받는다고 한다. 때로는 스스로에게도 질문을 할 때도 있었다.

“성소의 꽃이 어느 한 순간에 활짝 피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인생의 모든 부분이 그렇듯이, 대나무 한 마디 한 마디가 모여 인생이 되듯이, 내 성소가 그렇게 씨앗이 뿌려지고 키워졌던 것이지요. 항상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과 함께 살고자 했던 봉사의 삶은 더욱 더 헌신적이고 항구적인 삶에로 초대하는 그리스도의 부르심에 응답할 수 있게 했습니다.”

손수녀는 이런 지속적인 부르심에 대한 응답으로 1990년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로 입회를 하게 됐고, 이후 갈바리아 산상의 죽어가던 예수님을 껴안았던 성모 모성의 마음으로 임종자들을 돌보던 수도회의 정신에 맞갖게 살려고 노력했으며 보람과 기쁨도 많이 느꼈다.

수도회의 영성이 삶의 완성과 품위로운 죽음을 맞이하도록 모든 임종자들을 돕는 호스피스 활동이 주된 사도직이다 보니, 늘 죽음의 문턱에 있는 이들을 만나게 된다.

손수녀는 현세를 살아가는 많은 이들이 가치관의 혼돈과 생명이나 삶에 대한 무분별한 선택, 죽음에서조차 차별적으로 대접받는 비윤리적인 상황을 안타까워한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으로서, 특히 수도자로서의 몫은 그리스도의 치유 현존의 삶을 사는 것이고 알리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손수녀는 이런 사도직에 젊은이들이 기꺼이 응답하기를 기도한다. 좋은 것을 함께 살아가고 나누는 일은 세상의 그 어느 일보다 더 가치 있는 일이라고 확신하는 것이다. 지난 수도생활동안 자신이 느꼈던 것처럼, 부르심에 응답하는 젊은이들도 ‘좋은 몫을 택하였다’라는 확신을 가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주정아 기자?



■ 신선미 소장(젬마·전진상영성심리상담소장·국제가톨릭형제회)

독신의 삶, 공동체 안에서 힘 얻어

영성심리상담은 또 하나의 사도직

 
 
국제가톨릭형제회(AFI, 이하 AFI) 신선미(젬마ㆍ54) 전진상영성심리상담소장은 20대 초등학교 교사였던



가톨릭신문  2014-05-09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29

이사 62장 2절
너는 주님께서 친히 지어 주실 새로운 이름으로 불리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