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에서 열린 ‘제6회 그라눔 심포지엄’에서 계성초 조기성 교사가 ‘가톨릭학교의 미래교육’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시커먼 짜장밥이 먹기 싫다고 투정부리는 아이들에게 노란 단무지를 별과 달 모양으로 잘라 밥 위에 올려줬더니 즐겁게 먹기 시작했어요. 인간보다 더 똑똑하다는 인공지능 ‘알파고’라도 정서적 교감이 없다면 못할 발상 아닌가요?”
2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성의회관에서 열린 제6회 그라눔 심포지엄에서 김수연(소화유치원 원장) 수녀의 발표에 참가자들은 웃음이 터졌다.
‘가톨릭학교의 미래 교육’을 주제로 열린 심포지엄은 교실 안팎으로 고도화된 디지털기술이 밀려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톨릭 교육이 가야 할 길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주교회의 교육위원회 위원장 정신철 주교는 격려사에서 “오늘날 우리는 인간과 인간, 사물과 사물, 인간과 사물 사이가 연결되는 ‘제4차 산업혁명’ 물결 앞에서 서 있다”며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복음의 가치를 구현해나가는 가톨릭 교육자들이 함께 모여 가톨릭 교육의 미래에 대한 고민을 나누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심포지엄은 서울대교구 사회사목국 환경사목위원장 이재돈 신부의 특강을 시작으로 김수연 수녀 등 개별 교육기관 전문가 4명의 주제발표로 이어졌다.
이재돈 신부는 ‘회칙 「찬미받으소서」와 가톨릭교육’을 주제로 가톨릭 학교의 생명존중·환경보전·평화·정의 교육 실천 방안과 교육자의 자세 등을 설명했다. 교육부 첨단미래학교 자문단 조기성(계성초) 교사는 태블릿 PC, 교육 애플리케이션 등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계성초등학교의 스마트교실 운영 방법을 소개했다.
이어 최태선(현대고) 교사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활동하는 가톨릭 중등교육자회 활동을 통한 학교 복음화의 모습을, 신승환(가톨릭대 철학과) 교수는 인간과 기계가 상호 소통하는 포스트휴먼시대 속 가톨릭 생명영성 교육의 중요성을 발표했다.
주교회의 교육위원회가 주최하는 그라눔(라틴어로 ‘밀알’을 뜻함) 심포지엄은 가톨릭 교육자 개개인이 이 세상에서 밀알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담아 매년 다양한 주제로 교육자들의 발표, 나눔의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유은재 기자 you@c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