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가 ‘한반도평화나눔포럼’을 열었습니다.
남북 관계가 꽉 막힌 현실에서 평화를 향한 새로운 도전에 나서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서종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현재 한반도의 상황은 매우 암울하고 남북관계는 꽥 막혀 있습니다.
정치, 군사적 강 대 강 대치 국면으로 통신, 통행, 통상이 전혀 없는 제로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반도평화나눔포럼은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됐습니다.
화해와 평화에 이르는 가톨릭의 가르침을 돌아보고 이를 위한 과제가 집중 논의됐습니다.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서리인 정순택 대주교는 환영사에서 포럼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정순택 대주교 /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서리>
“이제 남북관계는 70년의 갈등을 넘어 공존과 공생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긴 안목 속에 민족의 화해와 평화를 위해 어떻게 벽돌을 쌓아야 할지 서로 고민하고 논의해야 합니다”
한국천주교 민족화해 운동의 과제도 3가지가 제시됐습니다.
정부의 대북 정책과 상관없는 화해 운동의 자율성 확보, 민족화해 운동의 전국화와 지속 가능성 확보, 북한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오는 교회 내 갈등 해소 문제입니다.
<김선필 선임 연구원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아직도 북한을 적으로 바라보는 신자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한국 교회가 한마음한 뜻으로 민족화해운동을 펼쳐나가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 정전론을 넘어서는 ‘정의로운 평화’ 체제 구축과 이를 위한 5가지 행동 원칙이 제시됐습니다.
참여와 회복, 올바른 관계와 화해 그리고 지속가능성입니다.
핵무기 확대라는 악화된 정세가 오히려 평화 구축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견해도 나왔습니다.
<메리엔 쿠시마노 러브 교수 / 미국 가톨릭대학교>
“어쩌면 악화되는 갈등이 실제로 평화 구축을 도울 수 있습니다. 바로 교착 상태를 뒤흔들어서 대안을 추구할 동기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부 지도층이 평화구축 노력을 하지 않아도 평화에 대한 새로운 도전 필요성도 제기됐습니다.
관련해 정순택 대주교는 한반도 미래 평화의 주역인 남북한 청년 교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순택 대주교 /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서리>
“이번 2027년 세계청년대회에 그것이 상황이 허락된다면 북한 청년 일부라도 상징적으로 초대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고 우리가 여러 가지 노력할 수 있는 부분은 해보고 싶은 그러한 생각입니다.”
cpbc 서종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