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기회가 가장 필요한 이들 가운데 하나는 바로 장애인들이다.
그러나 장애인들 대부분은 학력 소외 계층(고졸미만)으로 전락하고 있고 장애학생 4명 가운데 1명만이 특수교육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장애인들에게 교육의 벽은 높기만하다.
이런 가운데 가톨릭 교회가 운영하는 특수학교들은 우수한 기반시설과 함께 학생 맞춤 교육, 가톨릭 정신에 입각한 전인 교육으로 주목받고 있다.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 교육에 헌신하고 있는 가톨릭계 특수학교들을 소개한다.
-------------------------------------------------------------------------------------
▨서울 애화학교(교장 김정화 수녀)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학교로 1976년 포교 성네딕도 수녀회 대구 수녀원이 설립했다. 영유아반부터 고등부까지 있으며 모두 27학급으로 학생수는 160여명이다. 연령별 맞춤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전 학년을 대상으로 언어와 미술치료를 강화하고 중복장애학생들을 위한 심리운동, 물리치료도 함께 한다.
주소: 서울시 강북구 미아3동 124-2, 02-987-5161~2,
http://aewha.sc.kr ▨안산 명혜학교(교장 장미나 수 녀)
뇌성마비, 정신지체, 지체장애 학생들을 위한 학교다. 중학부 6개반, 고등부 6개반으로 이뤄져 있으며 학생수는 120여명이다.
1982년 이방자 여사가 설립, 운영하다 1985 영원한 도움의 성모 수녀회에서 인수, 운영해오고 있다. 중점적 개별화 지도와 치료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장애를 이겨내도록 돕고 있으며 정보화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2동 1273, 031-406-1137~8, www.myhe.sc.kr
▨충주 성모학교(교장 이순복 수녀)
1955년에 충주 성심 맹아학원으로 시작한 시각장애 특수학교다. 유치부부터 고등부까지 운영하며 학생수는 80여명이다. 학생들에게 무료 개안수술을 알선해주고 고등부 이료교과(안마 관련 교과) 이수자에게는 안마사 자격취득과 취업을 돕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해 진학지도위원회를 구성, 점자학습교재 및 녹음참고교재를 지원하며 수능 수업반을 마련하고 있다.
주소: 충북충주시 호암동 42-9, 043-843-1374,
http://www.chungjusm.sc.kr ▨충주 성심학교(교장 김희옥 수녀)
청각장애 특수학교로 1955년 충주 성심 농아학교로 시작했다. 유치부부터 고등부까지 총 23학급이고 학생수는 140여명이다. 학생들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해 양질의 보청기와 인공와우를 최대한 활용하는 말하기 교육을 실시한다.
학생들에게 체육과 예능 등 여가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특히 성심야구부는 농아 학생들로 구성된 국내 최초의 야구부로 유명하다.
주소: 충북 충주시 교현 2동 640-2, 043-847-3230,
http://www.sungsim.sc.kr ▨청주 성신학교(교장 장영숙 수녀)
중부권 유일의 정서장애아 교육기관으로 1989년 개교, 유치부에서 고등부까지 전 과정(총 25학급, 학생수 192명)을 갖췄다.
개별화된 맞춤교육과 열린체험학습을 통한 사회성 계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초등부에서부터 직업 생활을 위한 기본생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현장 중심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주소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 146-7,043-265-7976,
http://cjss.sc.kr ▨청주 꽃동네학교(교장 오세균)
발달장애, 지체부자유, 뇌병변, 정신지체 학생들을 위한 학교로 2000년 설립했다. 유치부부터 중등부까지 운영하며 학생수는 90여명이다. 통합교육, 치료교육, 직업교육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습수준을 고려한 개별화 교육, 장애영역별 치료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주소 : 충북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 235, 043-882-7700,
http://kkot.sc.kr ▨광주 은혜학교(교장 박순옥 수녀)
1982년 설립된 지체부자유 특수학교로 유치부부터 고등부까지 운영하고 있다. 총 28학급이며 학생수는 210여명이다. 각 학생의 장애 정도와 학습 수준에 맞는 수준별 개별화 수업을 진행하며 교육과정 전 영역에서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사회적응 능력을 길러주고 있다. 특히 고등부 졸업생을 위한 `씨튼 장애인 직업재활 센터`를 건립해 직업생활로 연결해주고 있다.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479-2, 062-971-1004,
http://www.eunhae.sc.kr박수정 기자 catherine@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