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닫기
하루동안 열지 않습니다.
2025년 8월 20일
생명/생활/문화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실향민’ 이동표 작가 ‘고향의 봄’ 전시 열려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황해도 출신 실향민으로 민족의 애환을 캔버스에 담아 온 이동표(요한 세례자) 작가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서울대교구 절두산 순교성지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관장 원종현 야고보 신부)은 특별기획전시 이동표 작가 초대전 ‘고향의 봄’을 9월 14일까지 개최한다.


이 작가는 황해도 해주예술전문학교 재학 당시 6·25 발발로 강제 징집되며 인민군으로서 전쟁의 참상을 목격했다. 이산과 실향의 아픔이 해소되지 않은 채로 원로작가가 된 이 작가의 작품에는 전쟁의 고통과 상실, 가족과 고향을 향한 그리움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하지만 이 작가는 슬픔에만 머무르지 않고 성모님에 빗댄 어머니의 모습, 통일의 순간에 대한 행복한 상상 등을 통해 희망도 그려냈다. 전시를 관통하는 ‘고향의 봄’이라는 제목은 마침내 봄이 찾아온 고향 땅을 밟게 될 날에 대한 간절한 바람을 담고 있다. 


전시는 ▲어머니, 내 영혼의 고향 ▲고향, 꿈에도 그리운 곳 ▲다시 만날 가족 ▲고향의 봄 ▲마음의 안식처 등 6개 테마로 구성됐다. 이 작가만의 강렬한 색채와 터치는 상실로 인한 고통과 그리움, 희망의 정서를 전달한다.


전쟁 중 아이를 잃은 어머니의 고통을 표현한 <6·25 피에타>, 황해도의 풍경과 사람들에 대한 향수를 그린 <고향에 가고 싶다>, 성모님의 은총이 북녘 땅에도 닿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은총의 어머니>, 후일 성인이 된 김대건 신부의 탄생을 기뻐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그린 <아버지의 사랑> 등 유화와 드로잉 60여 점을 만날 수 있다.


원종현 신부는 “이동표 작가의 작업은 신앙과 예술을 통해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이라며 “작가의 그림 안에서 우리가 지나온 역사를 직시해 고통의 시간에 머물지 않고 ‘봄’을 맞이하리라는 희망을 갖길 바란다”고 전했다.



황혜원 기자 hhw@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5-08-20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8. 20

시편 54장 6절
보라, 하느님은 나를 도우시는 분, 주님은 내 생명을 받쳐 주시는 분이시로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