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저자 페르난도 필로니 추기경을 교황 특사로 이라크에 파견했다.당시, 현장은 이슬람 무장단체 IS가 그리스도교인들을 그들의 지역과 마을에서 강제로 추방하고 있던 때였으며, 상상할 수 없는 학살이 자행되고 있었다. 이 시간은 저자로 하여금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 의해 희생된 이들과 만나보고 대화하고 위로하고 함께 기도하며 연대하는 기회였다. 이 책을 저술하게 된 계기이기도 했다.
메소포타미아교회와 이라크교회의 역사는 오래되고 단단한 뿌리를 지니고 있다. 전 세계 많은 나라에 그 소속 신자들이 분포해 있고, 그들의 언어적, 전례적 전통은 교회 역사를 완성하는 데 한 부분을 차지한다. 특별히 메소포타미아의 그리스도교는 그 영광스러웠던 역사 속에서 실크로드라는 길을 통해 거대한 아시아 대륙의 중국까지, 그리고 그 너머까지 도달했다.
책은 메소포타미아에서의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탄생과 성장, 발전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아름다움과 함께 공동체가 처한 위기, 박해 상황에서 신앙의 증거와 매우 강한 저력을 정치 사회학적 맥락에서 설명하고 있다. 총 5장으로 구성된 책은 초기 이라크교회부터 우리 시대까지, 교회의 역사와 발전 및 사명을 살펴보는 가운데 동방 가톨릭교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면서 고통받는 교회 신자들을 기억하도록 한다.
1장에서는 ‘고대 그리스도교 공동체들’을 다루면서 복음화의 시작과 동방교회의 형성 및 이단, 동방교회의 분리와 고립에 관해 설명한다. 2장과 3장에서는 각각 ‘아랍, 몽골, 투르크메니’와 ‘메소포타미아의 라틴교회: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시대’를 이야기한다. 또 4장은 ‘20세기 인구학적 ·지리적 격변과 이라크의 탄생을, 5장은 ‘교황청과 이라크’를 주제로 이라크 국가와 오늘날 이라크의 그리스도인 등을 거론한다.
현재 메소포타미아에서 그리스도인은 수적으로는 소수이지만 다른 의미에서 중요한 존재다. 여러 세대에 걸친 박해와 지난 세기의 시민 정책으로 신자 수가 줄기는 했으나, 그리스도교는 이 나라의 문화와 전통에서 특별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동방교회는 이라크에 존재했던 최초의 그리스도교를 계승한 교회다.
저자는 “중동, 특히 메소포타미아(현재의 이라크)의 그리스도교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개별적이고 극적인 상황들을 넘어서는 이유를 이해하는 한편 그리스도교인들의 삶과 문화 및 신앙에 대한 증거, 또한 그들의 고향에 대한 깊은 애착과 그들의 적들에 대한 불굴의 의지를 고취하는 원동력을 이해하는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