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6일
생명/생활/문화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시집] 「스며드는 빛」, 소박한 음식 닮은 시어

시인 류진미(스텔라)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시집 「스며드는 빛」에 담긴 시들은 내면은 말할 것도 없고 삶의 방식까지 온전히 절대자에게 맞춰져 있는 어느 수도자가 쓴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집중력이 있다.

 시어들은 소박하면서도 솜씨 좋은 여인이 차려낸 음식처럼 정갈하다. 그러면서도 시어와 시어 사이에, 행과 행 사이에는 부드러운 긴장감이 흐른다.

 "나는 말하는 법을 잊어버렸네/ 말이 없어도 임과 살 수 있느니/ 임은 내게 잊으라 하네/ 내가 나임을// 원형(原形) 그대로의 모습으로 다시/ 만나길 원하네"(`또다시 동굴에서`)

 류진미(스텔라, 47) 시인은 하느님 현존을 체험하길 갈구한다. 그분을 만나기 위해 사막의 동굴을 찾아 들어간 수도승들만큼이나 그 바람이 간절하다. 그래서 여름날 태양 아래 수줍은 꽃처럼, 산들바람 사이로 거니는 연인처럼 부르는 님의 목소리(`부르셨습니까`)에 끌려 감각의 귀를 닫고 침묵으로 걸어 들어간다(`동굴Ⅱ`).

 하지만 성찰과 회개 없이 어떻게 그분을 만날 수 있으랴. 그래서 낮은 자세로 심연처럼 깊고 어두운 곳까지 내려가 빛을 기다린다.

 "삶을 펼쳐 보이면 어둠도 빛도 날개가 됩니다/ 밤이 옵니다/ 빛은 당신한테서 오고/ 어둠은 제 안에 있습니다/ 어둠이 짙어질 때 빛은 탄성을 울립니다"(`빛의 날개`)


 
▲ 시집 「스며드는 빛」 표지
 
 시인은 시와 신의 존재가 점점 희미해져가는 세상에서 신앙시를 쓴다. "시는 죽었다"고 함부로 말하는 사람들 속에서 꼿꼿이 중심을 잡고 시를 통해 하느님 사랑을 전하는 도구가 되고 싶어 한다.

 시인은 "하느님 만남이 내 삶의 방향을 바꿔 놓았다"며 "그 가슴 벅찬 기쁨과 사랑을 엮어 이제 홀가분한 마음으로 강물처럼 흘려보내려 한다"고 말했다.

 수원교구 수지본당 사무장으로 일하는 시인은 "교회 안에서 일하는 걸 기쁨으로 여긴다"고 말했다.
김원철 기자 wckim@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2-01-08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0. 16

1역대 22장 13절
힘과 용기를 내어라. 두려워하지도 말고 당황하지도 마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