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0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현장 돋보기] 강론대에 담긴 깊은 울림

이학주 요한 크리소스토모(신문취재팀 기자)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이게 숭공학교 학생들이 뮈텔 주교님에게 선물한 강론대예요.” “오, 그렇군요.”

작은 흑백사진 한 장을 유심히 살펴보며 대화하는 두 장상의 눈이 반짝인다. 주인공은 서울대교구장 정순택 대주교와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장 박현동 아빠스. 5일 서울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특별기획전 ‘아니마 문디(Anima Mundi)’ 개막 행사 풍경이다.

이 전시는 1925년 정기 희년을 맞아 비오 11세 교황이 바티칸에서 개최한 선교박람회 10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 당시 한국 교회 3개 교구(서울·대구·원산대목구)가 수집해 박람회에 출품한 유물과 예술품 270여 점을 선보인다. 정 대주교와 박 아빠스가 본 명동대성당 옛 강론대 사진도 그중 하나다. 그렇게 눈에 띄는 전시물은 아니지만, 이들에겐 남다른 의미가 있다. 강론대를 주고받은 인물의 후임이기 때문이다.

느티나무로 만든 이 강론대는 1915년 서울대목구장 뮈텔 주교의 주교 수품 25주년을 축하하는 ‘깜짝 선물’이었다. 성 베네딕도회 상트 오틸리엔 연합회가 서울 백동(혜화동)에 설립한 기술학교인 ‘숭공학교’의 목공부가 제작했다. 뮈텔 주교는 독일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을 방문해 성 베네딕도회에 한국 선교 파견을 요청한 인물이었다. 백동수도원장 사우어 아빠스의 지시에 따라 수사와 학생들이 꼬박 1년 동안 강론대를 만들었다.

3월 11일 아침 새 강론대를 본 뮈텔 주교는 놀라워하며 ‘훌륭하고 완벽하다’는 평을 일기에 남겼다. 그리고 백동수도원을 찾아가 사우어 아빠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이들의 조국인 프랑스와 독일이 치열한 혈투를 벌인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기간에 있던 일이었다.

1920년 사우어 아빠스가 원산대목구장에 임명돼 주교품을 받은 뒤로도 긴밀한 관계는 유지됐다. 모든 교구가 힘을 모아 전시물을 출품한 바티칸 선교박람회가 그 방증이다. 평화가 절실한 지금, 100년 전 두 장상의 행보가 남다르게 다가온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5-07-09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7. 10

야고 5장 7절
형제 여러분, 주님의 재림 때까지 참고 기다리십시오. 땅의 귀한 소출을 기다리는 농부를 보십시오. 그는 이른 비와 늦은 비를 맞아 곡식이 익을 때까지 참고 기다립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