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2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현장 돋보기] 가톨릭 신자이지만 낙태는 찬성합니다?

박예슬 헬레나(신문취재팀 기자)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한때 법조를 출입하면서 무당인 이모가 ‘귀신을 쫓겠다’며 복숭아 나뭇 가지로 조카를 때리고 물고문해 살해한 ‘서연이 사건’ 재판을 취재한 적 있다. 재판장에 들어가기 전 상상했다. ‘10살배기 아이에게 개의 배변까지 핥게 한 비정한 이모는 어떤 모습일까, 그렇게 악한 짓을 했다면 분명 죄책감도 없겠지?’

그러나 실제는 너무 달랐다. 재판장에서는 한 여성이 울면서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조카를 죽인 무시무시한 이모가 아닌, 판사에게 ‘잘못했다’고 비는 유약한 존재만 서 있었다. 이렇듯 악은 우리가 생각하는 모습과는 딴판으로 드러나곤 한다.

가톨릭교회가 악으로 규정한 낙태도 그렇다. 낙태 자체는 잘못됐지만, 이를 고려하는 여성에게는 여러 사정이 존재한다. 그 이유를 참작하다 보면, 낙태가 ‘태아를 살해하는 행위’라는 본질은 쉽게 잊게 된다. 한편으론 이해가 가기 때문이다.

10년 전 낙태한 경험을 본지에 전한 박주현(레지나)씨도 낙태를 권유한 이가 다름 아닌 수녀라고 밝혔다. 교회 안에서 그것도 수도자가 낙태 병원을 소개했다니, 처음엔 이 내용을 기사에 담아도 될지 고민했다. 그러나 수녀의 ‘좋은’ 의도와는 다르게, 낙태 후 큰 고통을 겪은 박씨 사연은 교훈을 준다. 어떤 이해관계가 있든 악은 악이다. 그 수녀도 박씨가 낙태 후 후회막심할 줄 알았다면 권하지 못했을 것이다.

낙태 관련 기사에 늘 달리는 댓글이 있다. ‘가톨릭 신자이지만 낙태는 찬성합니다.’ 위기임산부들의 사정을 고려할 때 낙태가 불가피할 수도 있다는 취지다. 그들에게 묻고 싶다. 위기임산부를 만나본 적 있는가. 아무 양심의 가책 없이 진심으로 낙태를 원하는 이는 몇이나 될까?

가톨릭 신자라면, 진정 그러한 이들을 위해 하느님 자녀로서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여전히 미혼부모·한부모·청소년 부모에게 존재하는 편견, 20만 원밖에 안 되는 양육비 선지급 제도, 열악한 출산·돌봄정책 등 목소리를 내야 할 곳과 바로잡아야 할 것들을 명확히 바라봐야 할 것이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5-10-22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0. 22

1코린 5장 7절
우리는 보이는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살아갑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