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4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신앙의 해, 신앙의 재발견] (23) 화해의 성사 - 고해성사를 고하다 1

‘화해·치유의 성사’ 뜻 퇴색 … 젊은 층 기피 심각/ 의무로만 여기다보니 부담으로 인식, 판공성사 미루면서 냉담하는 경우도, 참된 의미 인식시키기 위한 노력 시급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주일미사 10분 전, 신자들이 길게 늘어선 고해소 앞 풍경을 쉽게 볼 수 있다. 미사 시간이 가까워질수록 초조한 마음을 숨기지 못하고 신자들은 시계와 고해소 줄을 번갈아 쳐다본다. 일부는 일찌감치 단념하기도 하고, 일부는 마지막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고 앞사람이 빨리 나오길 기대한다. 하지만 사제가 있는 쪽의 고해소 문이 열림과 동시에 신자들은 아쉬움의 짧은 탄식을 내뱉는다. 그리고는 이내 미련이 없다는 듯 등을 돌려 성당으로 들어간다. 이는 고해성사를 대하는 한국교회 신자들의 단면이다.

실제로 하느님과 공동체, 자신과의 화해를 청하는 고해성사는 의미를 잃은 지 오래다. 신자들은 고해성사를 그저 신자의 의무로만 여긴다. 최근에는 이러한 의식마저도 사라지고 있어 문제다. 주교회의가 발표한 ‘2012 한국 천주교회 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고해성사 지표가 전년 대비 4.6 감소해 이 같은 현실을 확인할 수 있다. 유럽교회에 비해 여전히 많은 신자들이 고해성사에 참여하고 있지만 위태로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이번 호에서는 한국교회 신자들의 고해성사 실태를 성찰(省察)해 본다.



성찰

고해성사는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통한 화해와 치유의 성사다. 일곱 성사 중 병자성사와 더불어 ‘치유의 성사’로 불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고해성사에 대해 ‘신자들은 하느님께 끼친 모욕에 대해 그분의 자비로 용서를 받으며, 동시에 범죄로 상처를 입혔던 교회, 사랑과 모범과 기도로써 죄인들의 회개를 위해 노력하는 교회와 화해한다’(「교회헌장」 제11항)고 언급했다.

2000년 교회의 역사 안에서 강조된 고해성사의 의미는 세속주의와 상대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 빛이 바랬다. 신자들의 고해성사 참여율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추세며,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 역시 저조한 실태다. 지난해 서울대교구 사목국이 9개 본당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당 사목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설문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고해성사를 ‘판공성사 때만 한다’는 응답이 66.9에 달했다. 본지가 서울대교구 구역반장을 상대로 진행한 ‘성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에서는 32.9가 같은 질문에 응답했지만 설문 대상자가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 봉사자들이라는 점에서 결코 안심할 수 없는 결과다.

또한 ‘성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성사생활에 대한 부담감을 여실히 드러냈다. 성사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자주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바쁜 일상’과 ‘부담스럽다’는 응답이 각각 32.2와 29.9를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설문 조사를 통해 신자들이 ‘고해성사’에 갖는 부담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분석했다.

오래 전부터 고해성사는 신자들에게 신앙의 은총이 아닌 장벽으로 여겨졌다. 수원교구 복음화국의 ‘쉬는 교우 대상 설문 분석 결과 보고서’(2007년)에 따르면 냉담교우 25.3가 냉담의 첫 원인으로 ‘고해성사’를 꼽았다. 본지 창간 80주년을 맞아 조사 발표한 ‘가톨릭신자의 종교의식과 신앙생활’(2007년)에서도 17.1가 고해성사의 부담을 지적했다. 이 같은 결과는 현실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특히 젊은 층에서는 고해성사를 기피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어 한국교회의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한다.

본당에서 청년회 활동을 했지만 현재 2년째 성당을 나가지 않고 있는 권모(안젤라·30)씨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신앙을 소홀히 하다 보니 판공성사를 미루게 되고 자연스럽게 성당에 나가지 않고 있다”면서 “다시 성당에 나가고 싶어도 그동안의 죄를 고백하는 일이 어렵게만 느껴진다”고 고백했다.

통회

이러한 현상에 대해 교회 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해성사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고해성사의 참된 의미를 신자들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올바른 이해가 동반되지 않을 때, 고해성사에 대한 불필요한 부담이 증가한다는 이유에서다. 고해성사는 물론 일곱 성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서울대교구 사목국 교리전례사목부의 ‘성사학교’ 개설 배경도 그 맥을 같이한다. 이와 함께 성직자도 노력해야한다는 의견 또한 적지 않았다.

손희송 신부(서울대교구 사목국장)는 “신자들이 좋은 분위기에서 고해성사를 볼 수 있도록 더 많은 지역에 상설고해소가 마련되고 평일에도 편하게 찾아올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면서 “또한 성사집전자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도록 노력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명동성당 상설고해를 지원하고 있는 여경수 신부(글라렛선교수도회)는 “사제는 항상 화해와 치유의 손을 내밀고 있는 주님께 신자들이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모든 책임을 교회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신자 역시 고해성사가 갖는 ‘부담’을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군자는 하루에 세 번 반성한다’는 공자의 가르침처럼 스스로 성찰하고 뉘우치지 않고는 결코 성숙한 신앙에 도달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여경수 신부는 “고해성사는 주님의 눈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라며 “우리의 죄를 통해 영광을 드러내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뜻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고해성사의 은총은 하느님께서 마련해 놓았지만, 결국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신자들의 몫인 셈이다.

“해산할 때에 여자는 근심에 싸인다. 진통의 시간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를 낳으면 사람 하나가 이 세상에 태어났다는 기쁨으로 그 고통을 잊어버린다.”(요한 16,21)


 
▲ 최근 ‘화해·치유의 성사’인 고해성사의 참 의미를 잃은 채 부담감으로 기피하는 경향이 늘어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지연 기자 (mary@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13-06-02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5. 14

루카 2장 19절
마리아는 이 모든 일을 마음 속에 간직하고 곰곰이 새겼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