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종수 주교가 10월 28일 열린 한국천주교사료목록화사업 학술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주교회의 제공 |
한국 교회가 지닌 소중한 사료들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선 명확한 유형별 분류 체계와 관리 기준을 갖춰야 한다는 전문가들 의견이 나왔다.
발제자들은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한국천주교사료목록화사업추진위원회가 10월 28일 대전교구청에서 ‘한국 천주교 사료의 분류와 관리 방안 모색’을 주제로 마련한 심포지엄에서 천주교 사료의 특성을 살린 분류 체계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데에 뜻을 같이했다. ‘교회 사료 관리 체계의 표준화’가 실현돼야 한다는 것이다.
위원회는 2017년부터 10년간 전국에 산재한 교회 사료를 조사ㆍ정리ㆍ분석하고 목록화해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통합검색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위원회가 사업 6년 차인 올해까지 전국 교구와 수도회, 연구소 등을 통해 목록화한 사료만 6만 8000여 건에 이른다. 모두 1962년 교계제도 수립 이전 사료들이다.
이석원(프란치스코) 수원교회사연구소 연구실장은 발제를 통해 “분류 체계를 조직ㆍ기능 분류 중심으로 수립할 것인지, 주제ㆍ형태 분류 중심으로 수립할지 방향 논의도 필요하고, 1962년 이전 사료뿐 아니라 새로운 사료의 수집과 정리까지 예상한 분류 체계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며 “복수의 분류 체계를 병렬적으로 배치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교회 사료들이 교회 기관은 물론 개인이나 조직 등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수집된 것들이 많기에 명확하고도 다양한 분류 체계를 만들어 활용과 검색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송란희(가밀라) 한국교회사연구소 연구이사는 국공립 박물관들이 운용하는 분류 체계를 예로 들면서 “천주교 사료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국공립 박물관들의 분류 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이들과 연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천주교 사료표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천주교 사료를 소장하는 기관들과도 상황을 공유하고 보완해 나가야 한다”며 “천주교 사료는 교회 문화유산이지만 인류의 문화유산이기에 정부 기관 시스템을 사용해 지속적인 관리와 인력 지원도 받으면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내포교회사연구소장 김성태 신부는 사료의 공개 여부에 관한 기준 마련에 대해 “사료를 목록화하는 일은 잠자고 있는 사료를 일깨우는 작업과 같고, 그것이 공개될 때 비로소 의미가 있지만, 각 교구와 기관이 통일된 공개 및 비공개 기준이 다른 만큼 합리적이고도 일관된 기준이 필요하다”고 했다.
바티칸 문서고의 자료 열람과 공개에 관한 지침도 예시로 제시됐다. 내포교회사연구소 부소장 권영명 신부는 바티칸 문서고가 교회법이 정한 규정에 따라 △출입 연구자의 자격 △출입증 발급 △열람실 예약 △복사본 활용 등의 구체적인 지침을 두고 있는 점을 설명했다. 대구대교구 사료실장 이연춘 신부도 교구 사료실의 세분화된 관리 지침과 방법들을 상세히 안내했다.
대전교구장 김종수 주교는 축사를 통해 “오늘 이 심포지엄은 연구자들의 그동안 경험과 안목을 바탕으로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안하고 토론하는 장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간이라 여긴다”며 “한국 천주교 사료가 더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방향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토대가 되고, 소중한 신앙 유산을 향유하는 데 큰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정훈 기자 sjunder@c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