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는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피납되었던 개신교 선교단원 23명의 사건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당시 그 사건은 온 국민을 떨게 하면서 찬반 의견이 매우 분분했다. 위험지역으로 선포되면서 가지 말라고 권고했음에도 떠난 여정이기도 하고, 탈레반들에 대한 두려움과 협상이 잠시 무산되면서 보인 그들의 폭력성 때문이기도 했다.
영화의 시선은 인질로 잡힌 23명의 처지가 아니라 어떤 이유이든 자국의 국민을 구해 내야 하는 나라와 그 책임을 지고 파견된 국가 공무원의 관점에서 펼쳐진다.
교섭을 전문으로 하는 외교관 정재호(황정민)와 교섭에 실패한 경험은 있지만 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정원 요원 박대식(현빈)의 만남은 처음부터 삐걱거린다.
꼭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지만 국격을 염두에 두고 원칙으로 나가야 하는 외교부 직원 재호의 접근 방식과 현지 사정에 능통하여 상식이나 원칙이 통하지 않는 탈레반의 문화를 아는 박대식의 접근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아프가니스탄 유일의 파슈토어 통역 전문가를 자처하는 한국인 카심(강기영)의 감초 같은 역할이 긴장 상황에 숨길을 틔운다.
주어진 시간은 24시간, 인질 숫자만큼 탈레반 수감자를 석방한 후 한국군은 이 나라를 떠나라는 사실상 이루어질 수 없는 탈레반의 제안은 어떤 방법으로든 인질을 살려야 한다는 목표가 같은 이들을 하나로 묶는다.
먼저 공식 채널인 아프가니스탄 외무부를 통해 탈레반 수감자 석방을 시도해 보지만 이들에게 탈레반을 석방하라는 것은 나라가 뒤집힐 일이다. 방법은 대면 협상뿐이지만 국제적으로 테러 집단과의 직접 협상이란 있을 수 없는 일이니, 난감하다.
하지만 무엇이 중요한가? 어떤 상황에서도 설혹 그들이 잘못된 선택을 해서 이루어진 결과라고 해도 국가는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지 않을까.
우여곡절 끝에 우리가 아는 결과를 만들었다. 항간에 그들을 구하기 위해 큰돈을 주었다는 속설이 있는데 돈은 흐르는 것이지만 20여 명의 생명은 어떤 값보다 소중하다.
임순례 감독은 인터뷰를 통해 “국가의 기능과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국가와 국민의 관계는 무엇인가, 그것들을 수용하는 공무원들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등 다양한 이야기를 품을 수 있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그분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사회정신을 돌보는 일을 잘하고 있어 고맙다. ‘와이키키 브라더스’, ‘제보자’, ‘남쪽으로 튀어’, ‘리틀 포레스트’ 등 재미있으면서도 우리 생각의 폭을 넓히고 깊이는 영화들이다.
영화인, 언론인, 정치인, 국민이 자기가 맡은 역할 안에서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소중한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가면 참 좋겠다.
1월 18일 극장 개봉
손옥경 수녀(성바오로딸수도회,
가톨릭영화제 프로그래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