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직접 성경과 교리서를 써서 신앙을 알렸던 시절에 비하면 지금은 쉽고 빠르게 복음을 알리는 게 가능해졌다. 하지만 그때보다 우리의 신앙이 깊어졌다고 볼 수 있을까. 그저 수많은 정보 중 하나로 신앙을 소비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봐야 할 지금, 복음 선포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현대의 성인과 복자를 소개한다. 성 티투스 브란즈마 신부와 복자 카를로 아쿠티스의 삶은 각자 주어진 자기 자리에서 본분을 충실히 실천할 때 누구나 거룩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언론인 순교자 티투스 브란즈마 신부(Titus Brandsma·1881~1942)
“가톨릭신자로서 다른 일을 할 수 없었습니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독일 나치의 탄압이 네덜란드까지 가해졌던 1940년대. 네덜란드 가톨릭계 신문의 기자였던 티투스 브란즈마 신부는 독일 나치의 광고와 보도자료를 신문에 실으라는 지시를 거부했고, 심문관이 국가 규정을 어긴 이유를 묻자 이같이 답했다. 복음의 가르침에 반하는 정보, 진실이 아닌 정보를 알리는 것은 하느님의 자녀로서 할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가르멜 수도회 수도자이자 언론인이었던 브란즈마 신부는 가톨릭 언론의 자유를 외치다 순교했고 1985년 시복된 이후, 37년만인 2022년 5월 15일 시성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날 브란즈마 신부를 비롯한 9명의 복자를 시성하며 “오늘 시성된 성인들은 어떤 대가나 세상적인 영광을 기대하지 않고, 우리의 형제자매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데 일생을 바쳤다”며 “그 결과 그들은 세상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기쁨을 발견하고, 주님의 역사를 찬란하게 증거했다”고 밝혔다.
브란즈마 신부가 언론인으로 활동했던 1940년대, 나치 독일이 네덜란드를 침공한 이후 네덜란드교회에 대한 탄압이 확산됐다. 나치는 가톨릭계 학교에 유다인 학생을 퇴학시키라고 명령했을 뿐 아니라 사제와 종교인의 고등학교 교장직을 금지하고, 가톨릭 언론을 검열했다.
유다인뿐만 아니라 현지인 사제들도 목숨이 위험한 상황. 하지만 브란즈마 신부는 그릇된 것을 모른척하고 넘어갈 수 없었다. 줄곧 나치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를 썼고, 사람들을 만나 진실을 알리는 일도 멈추지 않았다.
그는 결국 나치에 저항하는 내용을 기사화하지 말라는 명령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체포돼 1942년 1월에 강제 수용소로 이송됐다. 동료 수감자들에 따르면, 힘든 노동으로 모두가 힘든 상황에서 브란즈마 신부는 굶주린 사람들과 적은 배급량을 나누고 유다인 수감자들을 특별히 돌보겠다고 말했다. 브란즈마 신부에게 독극물 주사를 놓은 간호사는 훗날 “나를 불쌍히 여겼던 그 신부의 얼굴을 생생하게 기억한다”고 증언했다. 간호사에게 묵주를 주며 ‘우리 죄인들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를 바치라고 격려한 브란즈마 신부. 그는 동료 수감자들에게 “우리는 여기 어두운 터널에 있지만 계속 나아가야 한다”라며 “마지막에는 영원한 빛이 우리를 비추고 있다”고 전했다.
죽음 앞에서도 신앙인이자 언론인의 사명을 끝까지 지켜낸 브란즈마 신부. 그의 삶은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 때론 용기가 필요하지만 각자 주어진 자기 자리에서 본분을 충실히 실천할 때 누구나 거룩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시성식에서 “성덕은 영웅적인 몸짓이 아니라 일상생활의 수많은 사소한 행위로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 복자 카를로 아쿠티스(Carlo Acutis·1991~2006)
“저를 주님을 위해, 교회와 교황님을 위해 봉헌하고 싶어요.”
복자 카를로 아쿠티스는 이 말을 남겼다. 눈감을 당시 15세였던 그는 예수님 사랑과 성체 신심이 깊은 청소년이었다. 컴퓨터 활용 능력이 탁월했던 그는 성체 신비를 온라인에서 알렸고, 2020년 10월 10일 교회 역사상 처음 ‘밀레니얼 세대’ 복자가 됐다.
실제 아쿠티스는 성체 신심이 강한 디지털 사도였다. 1991년 런던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국적의 아쿠티스는 일곱 살에 첫영성체 후 매일 묵주기도를 바치고 미사에 참례했다. 미사 참례 전후 성체 조배를 했고, 부모가 성당에 가지 않는 상황이었음에도 네 살 때부터 성당에 가고 싶다고 얘기했다. “내가 아니라 하느님”, “삶의 계획은 언제나 예수님과 하나되는 것”이라며 그는 늘 첫자리에 하느님을 모셨다.
무엇보다 아쿠티스는 성체 신심이 강했다. “성체이신 예수님 앞에 머무르면 성인이 된다”고 확신하며 예수님을 뜨겁게 사랑하고 자주 감실 앞에 머물렀다. “성체성사는 천국에 이르게 하는 고속도로”, “성체는 하늘나라로 가는 비단길”이라며 성체를 사랑한 그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성체 기적과 말씀 등을 올리며 세상에 알렸고, 세계 성체 기적들을 모아 「하늘나라로 가는 비단길」이라는 두 권의 책도 발간했다. “인터넷은 대화와 배움·나눔·상호 존중 공간이고, 우리는 인터넷 노예가 되지 않고 온라인 따돌림을 거부하면서 인터넷은 책임 있게 사용돼야 한다”라고 역설한 그는 주로 컴퓨터·인터넷을 활용해 복음을 전했다.
성체 안 예수님을 사랑하고 디지털 사도로 모범을 보인 아쿠티스는 우리도 성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웠다. ‘인터넷 수호성인’, ‘신의 인플루언서’로 불리는 그는 2006년 백혈병으로 하느님 품에 안겼고, 이후 한 기적이 발생해 복자품에 올랐다. 2013년 췌장 이상 질환을 앓던 브라질의 한 아이가 그의 이름을 부르며 기도하자 수술로도 호전되지 않던 병이 나은 것이다. 일상 속 가난한 이들과 함께하며 사랑을 실천한 그의 이름을 따 이탈리아 아시시-노체라 움브라-구알도 타디노교구는 2021년 ‘형제애적 경제를 위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와 복자 카를로 아쿠티스’ 국제상을 2021년 만들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 역시 교황 권고 「그리스도는 살아계십니다」에서 그를 언급하며 “디지털 세상에서도 창의력과 천재성을 보여 주는 젊은이들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라고 강조했다.
미디어를 건전하게 활용하며 성체 신심을 세계에 떨친 아티쿠스. 그가 남긴 메시지는 그리스도인이 오늘날 눈과 마음을 어디에 모아 용기 내 행동할지 알려 준다.
“콘서트나 축구 경기를 보려고 마냥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은 많다. 그러나 나는 성체 안에 계신 예수님을 뵈려고 성당을 메우는 그러한 줄을 보지 못했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 이소영 기자 lsy@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