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청소년, 갈등해결·관계맺기 어려워해"
[앵커] 5월 마지막 주일은 청소년 주일로 지내고 있습니다.
청소년이 우리사회의 미래인건 분명합니다.
하지만 청소년들은 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학교가 정상화 되지 않던 시기 많은 것을 잃었습니다.
학교는 청소년들에게 단순히 배움의 장소가 아니라 정서를 어루만지고 사회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로 지체된 청소년 교육 문제, 지금이라도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김현정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팬데믹이 한창이던 지난 2년 반 동안 학교는 온라인 원격학습으로 대체됐습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 기간 동안 학교수업이 중단되지 않아, 전 세계에서 교육의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았습니다.
굳이 학교 대면수업이 이뤄지지 않아도 지식의 전달은 온라인 콘텐츠가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학교에서 대면수업을 했을 때 가능했던 정서의 보살핌과 관계형성, 학생과 사회를 연결해주는 역할 자체가 코로나로 단절되면서 문제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교육현장에서 아이들을 만나고 있는 교사나 교육 전문가들은 ‘관계 맺기의 어려움’, ‘정서불안’, ‘원만한 갈등 해결 능력의 부재’가 코로나19 청소년 세대에 두드러진 현상이라고 지적합니다.
<권재원 / 마장중학교 과학정보부장>
“아이들이 이렇게 대면하면서 서로 감정을 읽어가면서 상호작용하는 경험이 많이 부족하다 보니까, 평소에는 괜찮다가 뭔가 이렇게 사소한 오해가 생기거나 다툼이 생겼을 때 이것을 부드럽게 해결하지 못하고 그야말로 끝장 대결까지 밀고 가는 경향이 예전보다 조금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지닌 청소년들이 20~30대가 되었을 때, 더 큰 사회적 문제로 나타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입니다.
교사 출신의 강민정 의원은 무엇보다 청소년들의 심각한 정서 불안과 결핍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최근 들어 청소년들의 ‘자해’와 ‘자살률’이 눈에 띄게 높아지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강 의원은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강하게 주장했습니다.
<강민정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의원>
“국가적인 차원의 범정부적인 차원의 뭔가 대책 이게 예를 들면 전문적인 어떤 치유 시스템이나 진단과 치유 시스템을 만들고 여기에 상당한 정도의 인력과 예산을 저는 정부가 제공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교육부를 넘어서서 국무총리 차원에서 범부처 간의 이런 협업 시스템이나 이런 게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또 팬데믹이 장기화 되면서 에듀테크와 같은 IT 기술쪽으로 많이 기울었던 교육당국의 정책도 재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권재원 / 마장중학교 과학정보부장>
“교육이 일어나는 과정 자체를 ‘테크(Tech)’에 의존하게 만드는 거는 코로나19 때문에 점점 이렇게 상호작용하는 능력이 퇴화되어 가고 있는 아이들에게 그러한 부작용을 오히려 부추기는 결과도 될 수 있고 여러 가지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관심을 ‘테크(Tech)’ 보다는 ‘활동(action)’, ‘사회적 활동(Social action)’ 이쪽으로 좀 더 많이 바꿔주고 학생들의 어떤 ‘관계형성(Networking)’과 협력 되살아날 수 있는 그런 활동과 프로젝트를 국가에서 많이 지원해 줬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