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메일
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MY
로그인
ENGLISH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생활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사목수첩
기도문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가톨릭 주소록
상단 메뉴 열기
2025년 10월 6일
전체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교구/주교회의
교구/주교회의
닫기
검색창 열기
메인메뉴
전체뉴스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생명/생활/문화
사진/그림
가톨릭미디어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사목/복음/말씀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인터넷의 수호성인 카를로 아쿠티스] (21) 하느님께서 주신 재능, 하느님을 위해서...
카를로 성인의 재능과 작품들 “카를로 어머니와 꽤 오래전부터 알고 지냈어요. 어머니의 부탁을 받고 카를로가 작성한 글과 카를로를 알고 지낸 많은 이들이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가난한 사람들의 복음화를 위해 일하는 가난한 사제들의 모임인 프라도사제회가 올해로 한국 진출 5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프라도사제회에 각별한 애정이 있습니다. 언젠가 한국을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사랑의 거리’는 단절이 아니라 거룩한 만남의 공간...
우리나라도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가정 안에서 사랑을 주고받는 관계성도 달라졌다. 적정한 거리를 두면서도 깊은 사랑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할머니부터 손주까지 삼대가 둘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성과 집착에서 벗어날 때 삶 자체가 열매임을 자각...
재독 철학자 한병철(1959~)은 「피로사회」에서 오늘날의 인간을성과(成果) 주체’로 규정한다. 성과 주체는 스스로 과잉 긍정과 과도한 성과를 추구함으로써 자신에게 강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베드로의 증언으로 첫 ...
네덜란드의 철학자 스피노자(1632~1677)는 유다인이었지만 자신과 같은 유다인들을 비판했기 때문에 큰 미움을 받았다. 그는 유다인 사회에서 쫓겨나고 생명의 위협까지 받았다. 스
가톨릭신문
2025-9-30
[말씀묵상] 연중 제27주일
하바꾹 예언자는 3장으로 이루어진 짧은 예언서에서 당시 예언자들과 백성들이 크게 고민하던 질문을 던집니다. 하느님께 기도하여도 왜 응답을 주지 않으십니까? 왜 세상에는 불의와 폭력
가톨릭신문
2025-9-30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용서하는 법’을 배운다. 결국 자신을 위한 것인 용서는 결코 쉽지 않지만, 그 노력 끝엔 미움으로부터 해방되는 참된 자유가 기다리고 있다. OSV
가톨릭평화신문
2025-9-29
많이 조회한 뉴스
1
불안 극복하는 이에게 중독은 없다
2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3
[금주의 성인] 한국 성인 103위 (9월 20일)
4
부모와의 관계 회복은 자신을 사랑하는 첫 번째 선택
5
실체가 없는 악의 직접적 원인은 인간의 ‘자유의지’
6
[금주의 성인] 성 가우덴시오 (10월 11일)
7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최근 등록된 뉴스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사랑의 거리’는 단절이 아니라 거룩한 만남의 공간
성과 집착에서 벗어날 때 삶 자체가 열매임을 자각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베드로의 증언으로 첫 복음서를 집필한 마르코
[말씀묵상] 연중 제27주일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QUICK MENU
십자가의 승리
수원교구 구산성지 십자가 주님 수난의 상징인 십자가는 가장 높이 빛나는 숭고하고도 거룩한 사랑의 표징입니다. 원래 십자가는 저주의 대상이었지만, 예수님께서
예수 그리고 바라빠
제주 성 이시돌 ‘은총의 동산’ 십자가의 길 제1처 빌라도는 축제 때마다 사람들이 요구하는 죄수 하나를 풀어 주곤 하였다. 마침 바라
[제12회 신앙체험수기] 장려상- 야훼이레...
하느님 당신은 내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나는 하느님께로 가 꽃이 되었다. 아름드리 큰 나무에 걸터앉아 나뭇잎 사이의 햇살을 맞는다. 나무는 하느님이셨고 나의 숨이시며 나의 쉼
[금주의 성인] 성 마리아 요세파 (3월 20일)...
스페인 교회 마드리드대교구 주교좌 알무데나 성모 대성당에 있는 마리아 요세파 성녀의 성상. 출처=위키피디아 예수 성심의 마리아 요세파 성녀는 1842년 9월 7일 스페인
임신 첫 순간부터 인간 생명입니다
프로라이프 집회 참가자 중 한 명이 2006년 10월 25일 몰타의 수도 발레타에 있는 의회 밖에서 9주 된 태아 모형을 손에 들고 있다. 난자가 수정되는 순간부터 아버
하느님 진리 탐구 이끌어줄 스승 알베르토를 만나다...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이 파리의 한 홀에서 다른 수도자들에게 자신이 탐구한 하느님 진리를 설교로 전하는 모습. 출처=Wikimedia Commons 도미니코 수도회 입회하려
우정은 사랑의 한 표현이며 치유의 한 원리...
우정은 일상에서 자주 듣는 친숙한 용어다. 우리 속담에 ‘친구 따라 강남 간다’(隨友適江南)라는 말이 있다. ‘친구를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
[묵시록으로 읽는 믿음과 삶] 사르디스에 보내진 편지(...
한때, 아시아의 동쪽과 서쪽을 잇는 교통의 요지였던 사르디스는 서기 17년 큰 지진으로 황폐한 곳이 되었다. 로마 황제 티베리우스는 사르디스의 재건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고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마지막까지도 사랑을 설...
서울 성북동의 고즈넉한 언덕에 유명한 길상사가 있다. 본래는 대원각(大苑閣)이란 이름의 건물이었다. 주인이었던 김영한 선생은 평생을 한 사람만을 사랑했다. 그녀는 20살 때 23살
[말씀묵상] 사순 제2주일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사람아, 너는 먼지이니, 먼지로 돌아갈 것을 생각하여라”는 말씀과 더불어 머리에 재를 얹으며 시작한 사순 시기가 벌써 열흘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하느
묵주기도 하고 순교자·죽은 이들 기억하는 성월...
순교자(殉敎者) 성월(9월) 순교자는 피로써 ‘하느님 진리를 증거한 사람’을 가리킵니다. 한국 가톨릭교회가 9월을 순교자 성월로 지내는 것은 순교 성인
[생활속의 복음] 사순 제2주일 - 시련과 고통을 이겨...
이스라엘 타보르산 정상에 있는 주님의 거룩한 변모 성당 모자이크화. OSV 사순 제2주일 복음은 예수님의 거룩한 변모입니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시는 수난과 죽
구원자 예수의 인성을 드러내는 칭호 ‘사람의 아들’...
‘사람의 아들’은 예수님께서 당신의 신원을 드러내실 때 밝히신 칭호로 주로 자신의 수난과 죽음, 재림, 죄 사함의 권능에 대해 말씀하실 때 사용하셨다. 초
대립·분열 대신 화해·대화로 이루는 평화...
악마가 광야에서 예수님께 행한 세 번째 유혹은 세상의 모든 나라와 영광에 관한 것이었다. 예수님께서 답하신다. “사탄아, 물러가라.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ls
십자가에서 내려와 보시지
신앙인들은 하느님이 계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가끔은 ‘혹시’ 하느님이 계시지 않는 것은 아닐까? 의심할 수 있습니다. 무신론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제12회 신앙체험수기] 특별상 - 치유의 은총에 감사...
2024년 12월 6일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진료실. “어디 봅시다. 피검사 결과 CA125가 5.3, CA19.9도 정상, 골밀도 빼고는 다른 수치들도 거의 정상
[제12회 신앙체험수기] 심사평-명랑한 ‘은총’...
본심 심사위원들의 의견이 거의 일치해 선정이 어렵지 않았다. 가작 최태영 안테로님의 ‘비로소’는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이 감내해야 하는 ‘폭
[제12회 신앙체험수기] 우수상- 딱딱딱... 딱딱딱....
수 년전 잭 캔필드의 「Chicken Soup for the Father''s Soul」 (HCI, 2001.5)을 읽고 어떤 가족의 장기 기증 이야기가 감명 깊
[제12회 신앙체험수기] 장려상- 비로소...
비로소 (부사) 1.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건이나 사태가 이루어지거나 변화하기 시작함을 나타내는 말. 저는 어리석은 사람입니다. 하느님께서
[제12회 신앙체험수기] 대상- ‘하느님의 일’은 어떻...
‘가타리나님, 헌 옷과 헌 신발들은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아니랍니다.’ 소피아 수녀님이 보내온 문자다. 소피아 수녀님
이전
11
12
13
14
15
현재 페이지
16
17
18
19
20
다음
서울대교구청 전화번호
서비스약관
개인정보 보호정책
도움방
전체보기
운영자에게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등록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