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메일
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MY
로그인
ENGLISH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생활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사목수첩
기도문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가톨릭 주소록
상단 메뉴 열기
2025년 10월 5일
전체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교구/주교회의
교구/주교회의
닫기
검색창 열기
메인메뉴
전체뉴스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생명/생활/문화
사진/그림
가톨릭미디어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사목/복음/말씀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인터넷의 수호성인 카를로 아쿠티스] (21) 하느님께서 주신 재능, 하느님을 위해서...
카를로 성인의 재능과 작품들 “카를로 어머니와 꽤 오래전부터 알고 지냈어요. 어머니의 부탁을 받고 카를로가 작성한 글과 카를로를 알고 지낸 많은 이들이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가난한 사람들의 복음화를 위해 일하는 가난한 사제들의 모임인 프라도사제회가 올해로 한국 진출 5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프라도사제회에 각별한 애정이 있습니다. 언젠가 한국을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사랑의 거리’는 단절이 아니라 거룩한 만남의 공간...
우리나라도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가정 안에서 사랑을 주고받는 관계성도 달라졌다. 적정한 거리를 두면서도 깊은 사랑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할머니부터 손주까지 삼대가 둘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성과 집착에서 벗어날 때 삶 자체가 열매임을 자각...
재독 철학자 한병철(1959~)은 「피로사회」에서 오늘날의 인간을성과(成果) 주체’로 규정한다. 성과 주체는 스스로 과잉 긍정과 과도한 성과를 추구함으로써 자신에게 강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베드로의 증언으로 첫 ...
네덜란드의 철학자 스피노자(1632~1677)는 유다인이었지만 자신과 같은 유다인들을 비판했기 때문에 큰 미움을 받았다. 그는 유다인 사회에서 쫓겨나고 생명의 위협까지 받았다. 스
가톨릭신문
2025-9-30
[말씀묵상] 연중 제27주일
하바꾹 예언자는 3장으로 이루어진 짧은 예언서에서 당시 예언자들과 백성들이 크게 고민하던 질문을 던집니다. 하느님께 기도하여도 왜 응답을 주지 않으십니까? 왜 세상에는 불의와 폭력
가톨릭신문
2025-9-30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용서하는 법’을 배운다. 결국 자신을 위한 것인 용서는 결코 쉽지 않지만, 그 노력 끝엔 미움으로부터 해방되는 참된 자유가 기다리고 있다. OSV
가톨릭평화신문
2025-9-29
많이 조회한 뉴스
1
불안 극복하는 이에게 중독은 없다
2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3
[금주의 성인] 한국 성인 103위 (9월 20일)
4
부모와의 관계 회복은 자신을 사랑하는 첫 번째 선택
5
실체가 없는 악의 직접적 원인은 인간의 ‘자유의지’
6
[금주의 성인] 성 가우덴시오 (10월 11일)
7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최근 등록된 뉴스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사랑의 거리’는 단절이 아니라 거룩한 만남의 공간
성과 집착에서 벗어날 때 삶 자체가 열매임을 자각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베드로의 증언으로 첫 복음서를 집필한 마르코
[말씀묵상] 연중 제27주일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QUICK MENU
몸에 새겨진 남성성과 여성성을 찾아보세요...
태아의 초음파 사진. 임신하면 부모로부터 각각 하나씩 받아 구성된 한 쌍의 성염색체가 새로운 몸의 각 세포 안으로 복제되고 성이 결정된다. OSV 남성과 여성이 지녀
[금주의 성인] 레오비노 (3월 14일)...
레오비노 성인. 굿뉴스 주교로 지내던 중 십자 표시로 화재를 진압하고 많은 기적을 행했던 레오비노 성인은 5세기 말 프랑스 남서부 아키텐 지역의 푸아티에에서 농부의
하느님 진리를 탐구하고 전달하는 사도적 소명에 충실...
미국 워싱턴의 도미니코 수도회 연구기관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 성화. OSV 성인의 사도적 소명 일깨워준 두 가지 만남 진리를 열렬히 사랑한 중세 스콜라 시대의 위대
삶의 가장 근본적인 영적 에너지인 ‘사랑’...
아렌트(Hannah Arendt, 1906~1975)는 「인간의 조건」에서 인간의 ‘활동적 삶(vita activa)’의 기본 요소를 노동(labor)&m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
‘1654년 11월 23일 밤의 회심’이라 불리는 파스칼(1623-1662)의 초월적인 체험은 지금도 많이 회자되고 있다.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는 말을 남긴 유명한 철학자 파
[묵시록으로 읽는 믿음과 삶] 티아티라에 보내진 편지(...
티아티라는 여러 산업이 발달한 곳이었다. 빵, 염색, 가죽 공예 등의 산업으로 꽃을 피운 곳이었다. 각각의 산업 분야마다 상인 조합들이 형성되었고, 장사를 할라치면 그 조합에 가입
[말씀묵상] 사순 제1주일
예수님께서 성령에 이끌려 광야로 가시어 40일 동안 머무십니다. 거기서 긴 단식을 하신 후 가장 쇠약해졌을 때 예수님은 사탄의 유혹을 받으십니다. 본디 유혹은 약한 틈을 파고드는
신앙의 눈을 뜨게 되는 여정
‘인생은 풀리지 않는 문제 같은 것’이라는 노랫말 가사가 있다. 세상에 태어나 삶을 시작하는 아이에게는 모든 것이 신기하고 재미있어 보이지만, 삶에서
바오로 사도, 이방인들에게 예수를 ‘주님’이라 선포...
바오로 사도는 헬레니즘 문화권에 사는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선포할 때 예수 그리스도의 신원을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주님’ 칭호를 즐겨 사용했다. 바르톨로
특별한 지향으로 기도하는 여섯 성월...
교회는 3월을 성 요셉 성월로 정해 겸손과 하느님의 종이며 정결한 남편이고, 성실한 아버지이신 성 요셉을 특별히 공경하고 있다. OSV 가톨릭교회는 연중 어느 달을 특별히
[생활속의 복음] 사순 제1주일 - 세상이란 광야에서 ...
유다 광야. 가톨릭평화신문 DB 사순 첫 주일입니다. 파스카 부활 축제를 준비하며 기도와 자선과 재계(단식과 고행)로 속죄하고 그리스도의 수난에 동참하는 시기입니다.
비가 온 후에 땅은 더 단단해진다 (1)...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상담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은 상담은 의지가 약한 사람이나 받는 것이라는 선입견과 편견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사람들
이성 교제에서 신체 접촉은 친밀감의 표현...
2011년 10월 11일 한 연인이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앞에서 서로를 마주 보고 있다. 이성 교제가 진행되면 손을 잡고, 감싸 안고, 입을 맞추는 등 자연스럽게 신체 접촉
[금주의 성인] 성 가시미로 (3월 4일)...
가시미로 성인. 굿뉴스 가시미로 성인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의 대공인 카시미르 4세와 독일 황제 알베르트 2세의 딸 엘리사벳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13명의 형제 가
진리에 대한 열렬한 사랑이 위대한 신학적 공헌 원동력...
성 토마스 아퀴나스, 카를로 크리벨리 그림, 15세기. 그리스도교 신학 유산 탁월하게 종합한 학자 2000년이 넘는 그리스도교 역사의 발자취 안에서 교회는 보물과도 같은
궁극적 실재를 향한 자기 초월이 영성 치유의 핵심...
철학상담의 영성 치유는 인간 본성에 근거한 영적 도약과 활력을 목표로 하는 영적 치유를 의미한다. 영성 치유는 일차적으로 자기 문제와 관련해 정서적 반응과 체험을 살피고, 자기
[묵시록으로 읽는 믿음과 삶] 페르가몬에 보내진 편지(...
페르가몬은 소아시아 북쪽에 위치하고 아주 가파른 언덕 위에 자리 잡은 도시다. 여러 신들을 위한 신전이 있었고, 로마의 지배를 받기 전 아탈로스 1세(아탈로스 왕조) 임금의 승리를
[말씀묵상] 연중 제8주일
명심보감 천리편(天理篇)에는 종두득두(種豆得豆), 곧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맥락의 말이 나옵니다. 이는 오늘 복음에 나오는 예수님의 가르침 “나무는 모두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예수님께 베드로를 소개...
예전에 염수정(안드레아) 추기경님과 함께 그리스 성지를 순례할 때였다. 우리를 태운 버스가 파트라이 지역에 가까워지자, 옆에 앉은 염 추기경님은 많이 상기한 듯 보였고 눈가엔 이슬
셋이 하나 되는 신비, 삼위는 한분이신 하느님...
알브레히트 뒤러 작 ‘성 삼위일체의 경배’, 1511년. 그리스도교 신앙의 중심이 되는 삼위일체 신비는 우리 신앙 안에서 세상을 창조하신 성부(聖父)
이전
11
12
13
14
15
16
현재 페이지
17
18
19
20
다음
서울대교구청 전화번호
서비스약관
개인정보 보호정책
도움방
전체보기
운영자에게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등록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