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메일
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MY
로그인
ENGLISH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생활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사목수첩
기도문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가톨릭 주소록
상단 메뉴 열기
2025년 9월 14일
전체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교구/주교회의
교구/주교회의
닫기
검색창 열기
메인메뉴
전체뉴스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생명/생활/문화
사진/그림
가톨릭미디어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사목/복음/말씀
디지털 시대에도 눈치·침묵·미소의 인간적 소통 필요
[김용은 수녀의 오늘도, 안녕하세요?] 129. 소통의 언어
즉각적인 답과 완벽함만을 향하는 우리 사회에서 상대와 온기를 나눌 수 있는 인간다운 소통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챗GPT 제작 학창 시절 친구 집에 놀러 가면 친
가톨릭평화신문
2025-9-10
폭력 피하려면 올바로 사유하고 판단하는 힘 길러야...
여성 철학자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1975)는 20세기를폭력의 세기’로 진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진단은 비단 20세기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가톨릭평화신문
2025-9-10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도전과 모험을 무릅쓴 ...
등산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람들은 더 높은 산을 향해 끝없이 도전한다. 등산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은 어차피 내려올 것(?)을 왜 굳이 힘들게 산에 오르냐고 하는 이들도
가톨릭신문
2025-9-10
[말씀묵상] 성 십자가 현양 축일
이스라엘 영토의 절반은 광야입니다. 우리나라 땅이 얼마나 좋은 금수강산인지 실감 나게 해주는 곳이지요. 이스라엘의 중간에 자리한 예루살렘 아래쪽부터 유다 광야가 펼쳐지고, 그 밑으
가톨릭신문
2025-9-10
하느님께 우리 기도 전하는 젊은 성인...
카를로 아쿠티스 성인이 안치되어 있는 산타 마리아 마조레 성당은 프란치스코 성인이 가난하신 예수님만 따를 것을 결심하고, 아버지와 아시시의 주교 앞에서 모든 것을벗어던진&rsq
가톨릭평화신문
2025-9-10
[생활 속의 복음] 십자가 없는 구원은 없습니다...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 작성 십자가의 발견’, 1743년 오늘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세상과 인간을 죄악으로부터 구원하시기 위해 매달려 돌아가신 십자가를 우러러
가톨릭평화신문
2025-9-10
중독, 어떻게 예방하고 극복할 수 있나...
2023 리스본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 참여 사제가 포르투갈 리스본 한 공원에서 고해성사를 한 순례자에게 강복하고 있다. OSV 제9장 건강하고 행복
가톨릭평화신문
2025-9-9
많이 조회한 뉴스
1
중독, 어떻게 예방하고 극복할 수 있나
2
[금주의 성인] 한국 성인 103위 (9월 20일, 경축 이동)
3
작은 죄도 영혼을 묶는다는 깨달음
4
[생활 속의 복음] 예수님을 따름과 그리스도인다움
5
[말씀묵상] 연중 제23주일
6
디지털 시대에도 눈치·침묵·미소의 인간적 소통 필요
7
작은 것에 감사하며 고통을 마주하는 태도 필요
최근 등록된 뉴스
폭력 피하려면 올바로 사유하고 판단하는 힘 길러야
디지털 시대에도 눈치·침묵·미소의 인간적 소통 필요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도전과 모험을 무릅쓴 바르나바 사도
[말씀묵상] 성 십자가 현양 축일
하느님께 우리 기도 전하는 젊은 성인
[생활 속의 복음] 십자가 없는 구원은 없습니다
중독, 어떻게 예방하고 극복할 수 있나
QUICK MENU
디지털 시대에도 눈치·침묵·미소의 인간적 소통 필요...
즉각적인 답과 완벽함만을 향하는 우리 사회에서 상대와 온기를 나눌 수 있는 인간다운 소통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챗GPT 제작 학창 시절 친구 집에 놀러 가면 친
[금주의 성인] 한국 성인 103위 (9월 20일, 경...
정기 희년인 올해, 9월 순교자 성월 동안 우리 성인을 소개합니다. 9월 20일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로 인
중독, 어떻게 예방하고 극복할 수 있나...
2023 리스본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 참여 사제가 포르투갈 리스본 한 공원에서 고해성사를 한 순례자에게 강복하고 있다. OSV 제9장 건강하고 행복
주님이 주신 재능 찾아내 발휘해야
교육을 의미하는 라틴어 동사 ‘educare’는 ex(밖으로)와 ducere(이끌다)가 합쳐진 동사로, ‘밖으로 이끌어내다’라는 의
예수의 신성·인성 결합과 삼위일체 교리 제시...
3세기 호교 교부 테르툴리아누스와 오리게네스는 삼위일체 하느님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결합을 제시한 위대한 신학자들이다. 테르툴리아누스(왼쪽), 오리게네스 중세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절망에 빠진 이들의 수...
영화 <인천상륙작전> 초반에 맥아더 장군이 한강의 남쪽 참호에서 얼굴에 피가 묻고 흙을 뒤집어쓴 앳된 소년병과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나온다. “귀관은 왜 다른 병사들처럼
[말씀묵상] 연중 제23주일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따르는 많은 군중에게 돌아서서 당신의 제자가 되기 위한 조건들을 말씀하십니다. 첫째는 예수님을 따를 때,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 아내와 자녀, 형
[생활 속의 복음] 예수님을 따름과 그리스도인다움...
카라바조 작 ‘성 마태오를 부르심’, 1599~1600. 예루살렘을 향한 여정에 함께하던 많은 군중을 보시며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ldquo
작은 죄도 영혼을 묶는다는 깨달음
7일 시성식을 앞두고 이탈리아 아시시 카를로 아쿠티스 복자 무덤에 들른 세계 각지 순례자들이 참배하고 있다. OSV 2025년 9월 7일 마침내 카를로 아
시련과 고난마저도 은총임을 깨닫기
신앙과 가장 잘 어울리는 표현은 ‘감사’일 것이다. 모든 것을 선물로 주신 하느님의 은총에 대해 감사의 마음으로 사는 삶이 신앙이기 때문이다. 성경에
영지주의 등 이단으로부터 정통 신앙 지켜...
리옹의 성 이레네오 주교는 영지주의를 비롯한 당대의 많은 이단으로부터 교회의 사도 계승의 정통성을 지켜가는 데 공헌했다. 리옹의 성 이레네오 주교 이콘. 출처=정교회 온라인 매
[금주의 성인] 톨렌티노의 성 니콜라오 (9월 10일)...
니콜라오 성인. 굿뉴스 톨렌티노의 니콜라오 성인은 이탈리아 안코나 지방의 작은 시골 마을 산탄젤로(Sant'Angelo)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부모는 신심 깊은
작은 것에 감사하며 고통을 마주하는 태도 필요...
중독에 빠지는 원인 가운데에는 감당해야 하는 현실의 고통을 회피하려는 마음이 자리한다. 출처=픽사베이 제9장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전개 2. 중독 이해하기(2)
마지막 순간 “참 괜찮은 사람이었어” 정도면 어떨까?...
인간 삶에서 덕은 규범을 넘어 따뜻한 선택을 하고, 타인과 조화를 이루는 힘이다. 좋은 우정은 단순한 유대나 취향 공유를 넘어 영혼의 길동무가 되어주는 것이다. OSV &
갈등, 파국 아닌 성장 동력으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인간관계에서 대부분의 갈등은 자기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의 생각을 자기 편의대로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써 발생한다. 관계는 대체로 서로에게 기쁨을 주는 동안에만
[금주의 성인] 성 마르첼로 (9월 4일)...
마르첼로 성인. 굿뉴스 전승에 따르면 마르첼로 성인은 프랑스 동부 리옹의 사제이자 리옹의 초대 주교인 포티노 성인의 제자였다고 합니다. 마르첼로는 177년 마르쿠스 아우
자기 자신 잃고 쾌락에 속박되는 중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이 만연한 오늘날, 진실된 친교보다 호화로운 일상을 공유하는 것이 보편화됐다. 출처=픽사베이 제9장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전개 2.
애도, 죽음에서 오는 상실 극복하는 슬픔 승화 과정...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표현할 때 특별히 ‘애도’라는 말을 사용한다. 애도는 일반적으로 타인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이나 불행 혹은 고통을
눈 뜨는 순간 성찰·기도는 뇌에게 주는 가장 건강한 첫...
우리는 눈을 뜨자마자 습관적으로 휴대전화를 찾는다. 뉴스와 정보·메시지를 확인하는 순간 복잡한 생각의 미로로 빨려들어간다. 위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연관 없음. 출
동물 돌보고 쓰레기 줍는 지구 지킴이...
동물을 사랑하고 자연을 아꼈던 카를로 아쿠티스 복자의 삶은 프란치스코 성인의 삶과 맞닿아 있다. 출처=www.carloacutis.com “성 프란치스코와 카
이전
현재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서울대교구청 전화번호
서비스약관
개인정보 보호정책
도움방
전체보기
운영자에게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등록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